두뇌가 활동을 멈췄다. 나를 온전히 나로만 존재하게 하는 것, 그 무엇이란 말이냐. 사실 치열하게 문장이란 것에 대해 고민을 해본 적은 없다. 쓴다는 것,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 남모를 시간을 투자하거나 괴로워하지 않았다. 다만 잘 알지 못했을 뿐이다. 어디서부터 무엇을 써야 하는 건지, 무엇을 쓰고 무엇을 빼야하는건지 사실 잘 모르겠다. 그 경계를 몰라서 어정쩡하게 돌아섰을 뿐이다. 하지만 못내 뱉어낸 말들이 만족스럽진 못했다. 나도 알고 있었다. 나처럼, 내가 만들어낸 그것들이 완벽하지 않았음을. 허술하고 엉성해 고쳐야할 것들이 수두룩하다는 걸. 나는 알고 있었다. 하지만 또한 잘 알고 있었다. 그렇다고 딱히 대안이 없음을. 그냥 그게 최선이었어. 별수가 없잖아. 그냥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수밖엔 방법이 없잖아. 근데 또 그걸 그대로 두기엔, 받아들이는 건 괴로워. 좀 많이 아쉽고, 안타까워. 정말 그래. 부끄러워. 그걸 또 하나의 '나'라고, 나의 일정 부분이라고,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나의 속마음, 나의 뇌의 일부, 나의 속의 한 부분이라고 그렇게 규정짓기에도 많이 못마땅해.
인정을 하고, 돌아서고, 속상해하고, 못마땅하고, 그러다가 결국은 긍정을 하고. 어쩌지. 어쩌지. 어쩜 좋을까. 조바심을 내고. 울고. 웃고. 가끔은 혼자 으쓱하기도 하고. 이 정도면 썩 괜찮은걸, 미소짓기도 하고. 그러다가 다시 구겨버리기도 하고. 나에게 글이란 그렇다. 난 내 이름 석자를 걸고 세상과 글로 소통하고, 내 글을 기다리는 독자가 있는 건 더더욱 아닌데. 왜 왜 이러는 걸까. 이런 내 욕심일걸까. 내가 원하는 내 모습.. 내가 되고 싶은 '나'는 매끄러운 문장을, 감각적인 문장을, 너무나 날카롭고 예리하며 유머감각있게 쓰는 사람인가보다. 능력의 한계가 느껴지는데. 자꾸 이러니까 내가 미워진다. 밉다. 미워. 싫다, 싫어.
결국 나만의 내 글의 독자요, 비평가요, 팬이었다. 유일한 나. 소중한 나. 딱 이만큼인 나. 인정하기 힘든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