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A
비카스 스와루프 지음, 강주헌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는 동안, 김영하의 <퀴즈쇼>가 생각났다. 조선일보던가..매일 신문에 연재되던 그 소설을 초반에 꽤 열심히 찾아서 읽었는데 끝까지 챙겨 읽지 않아서 결론이 어떻게 맺어졌는지 모른다. 하지만 문제가 주어지고 답을 맞추느냐 못 맞추느냐의 상황에 선 주인공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느껴졌다. 상황은 딱 두 가지뿐. 정답을 아느냐, 모르느냐.
문제를 풀면 목숨을 구할 수 있고, 문제를 풀지 못 하면 목숨을 내놔야하는 운명을 건, 그런 절대절명의 퀴즈가 아니더라도, 가끔 이런 아슬아슬하고 긴장감 넘치는 순간은, 당사자가 아닌 제삼자인 내가 보기에도 식은땀이 나고 목이 탄다. 이 책은 구성이 특이한데, 초반에 퀴즈쇼에서 우승을 차지한 람 모하마드 토머스가 체포되는 장면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는 점이다. 어떻게 제대로 학교에 다닌 적도 없는 무식한 주인공이 퀴즈쇼에서 어려운 문제들을 풀 수 있었는지, 그의 드라마 같은 인생 역정을 되짚어가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솜씨가 놀랍다.
이 책의 저자는 이 소설이 첫 작품이라고 하는데, 전업 작가도 아니고, 재능이 있는 사람은 역시 다르구나 싶다. 소설을 읽으면서 탄탄한 구성과 밀도 높은 이야기의 밀접한 연관성이 조금은 억지스러울 정도란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꽤 두꺼운 이 소설책을 읽으면서 인도라는 나라에 대해 조금이나마 생각해보게 되었다. 책 감상평을 찾아서 읽어보니까 저자는 인도 사회의 여러가지 부조리를 담았다고 하는데, 제도적인 차별과 모순이 없는 사회가 어디 있겠냐만은 뿌리 깊은 부조리를 화석같이 딛고도 이상하게도, 지탱되고 있는 인도라는 나라에 대해 호기심이 생겼다. 우리의 상식으론 이상하기만 하고 말도 안 될지 모르지만, 그들만이 지켜온 나름의 규칙이 있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고, 류시화의 <하늘 호수도 떠난 여행>만을 읽고 인도에 대한 막연한 동경 같은 걸 품어왔던 사람들에겐 찻물을 끼얹을 지도 모르겠다.
아는 것은 힘이다. 퀴즈쇼에 나가서 우승하면 엄청난 상금과 명예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퀴즈쇼는 쇼다. 퀴즈는 퀴즈일 뿐, 학문이거나 지식이라고 말하기엔 무리다. 그것은 마치 뽑기 같은 거니까. 세상에 모든 것을 아는 사람은 없을 것이고, 말 그대로 퀴즈로 출제된 내용만 아는 사람이 퀴즈쇼에서 우승할 수 있다. 그것을 전부 운이라고 치부할 순 없겠지만, 어디까지나 운이고, 어디까지가 실력이 될 수 있을까. 힘 없고, 약한 사람들에겐 희망이란 운도 피해가기 마련인데, 과연 그런 무지개가 존재하기나 한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