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것을 타라
조정은 지음 / 에세이스트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조정은-처음 접하는 분이시다. 첫 표지 안쪽에 실린 사진은 그녀의 인상을 잔잔하게 드러내는 듯한 중년의 인자하신 옆모습이 실려 있다. 그리고 수필집에서 보여준 그녀의 삶과 인생에 딱 맞는 모습이라고 느꼈다. 이 책의 느낌은 꼭 내가 좋아하는 박완서 작가의 책 느낌과 비슷하다. 자신의 인생을 잔잔하게 내보이는 책. 수필집임에도 한 편의 소설처럼 그녀의 인생을 들려준다.
여러 가지의 제목으로 몇 편의 수필로 구성되어 있다.
조정은 작가 삶의 이야기가 때로는 구슬프게. 힘들게. 또 때로는 유쾌하게 담겨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이야기는 가족 이야기하는 부분이 가장 좋았던 것 같다. 그녀의 진솔한 말이 담겨 있어서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내 인생의 이야기를 만약 책으로 쓴다면 이토록 솔직하게 쓸 수 있을까 싶다. 나의 살아온 이야기를 누군가 읽는다면 나의 치부를 드러낸 것 같아 솔직히 부끄럽고 부담스러울 터인데, 작가들의 인생이야기는 어찌 이리 한 톨의 거짓도 없이 모든 것을 다 내보이는 것 같을까. 대단한 것 같다.
충남 서산에서 태어나 무역 회사에서 일하다 보석감정 공부를 하고 보석회사 딜러에서 일하신 이분은 남편과 결혼하고 그 회사가 부도나고 자신의 보석가게를 냈으며 현재는 글을 접하는 것이 좋아 격월간 에세이스트 편집장으로 일하고 계신다. 그녀의 어머니와 아버지에 관한 진솔한 이야기. 남편의 이야기. 자신의 아들에 관한 이야기. 보석가게를 운영하며 생긴 일화들. 인생을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회의등을 쓰셨다. 그리고 책의 맨 마지막에는 이름하여 조정은론 이라 하여 김종완님의 글이 실려 있다. 그녀의 글에 대한 개성과 그녀에 대하여-
잔잔한 이 수필집이 조정은이라는 한 사람에 대해 약간은 다가간 느낌이 들었다. 짧은 내 소견으로는 좋은 느낌의 수필집이었다. 내 엄마의 이야기를 들어본 것만 같은 느낌. 그러고 보니 오랜만에 수필집을 읽어보는 것 같다. 원래 소설을 좋아했고, 짧은 단편이나 수필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나의 취향도 어느새 변해가고 있나 보다.
수필집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추천해 보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수필이나 에세이 집을 싫어하시는 분에게도 추천해 드리고 싶은 책. ^^ 가끔은 누군가에게 이런 책 한권을 내밀어 보고 싶은 날이다.
살아 있다는 것은 곧 꿈을 꾸는 일의 반복이다. 꿈을 꾸는 일, 그것은 환상의 성을 짓는 일에 다름 아니다. 그것은 삶을 포기하지 말라는 신의 또 다른 방편이다. 우리가 삶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은 결코 가 닿을 수 없는 내일이라는 환상의 성이 쉼 없이 손짓해 부르기 때문이다. (p.116)
아버지는 들에서 일하는 것을 천직으로 삼았던 분이다. 이려,이려, 소를 몰다가 소가 멈춰서면 배 고픈감? 하시며 꼴을 먹이고 힘든감? 좀 쉴 텨? 하면서 함께 쉬었다. 가축들에게도 늘 사람처럼 대하며 소리치거나 때리지 않으셨다. 간혹 성미가 급한 큰 오빠가 쟁기질을 할 때, 회초리를 휘두르면 말없이 쟁기를 빼앗고 소의 등을 한참씩 쓰다듬곤 하셨다. (p.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