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이 남성의 몸에 맞추어 정의된다. 남성의 필요에따라 자동차와 건강보험 보장 범위가 결정되고, 남성의 모범적인 생애 주기에따라 회사 임원이 되기 위한 출세 코스나 근무 여건이 결정된다. 남성의 입맛에따라 학문의 질이 결정되고, 남성이 경험하고 매달려온 것들이 성과 기준이 된다. 예술이란 남성의 삶을 객관화한 것에 다름 아니다. 군대를 다녀온 자만이 시민의 자격이 있고, 아버지가 없는 가족은 가족이라 부를 수 없으며, 남자들이 서로 잘 지내지 못해 일어난 전쟁과 독재는 역사가 되고, 신은 남자의 형상을 하고삽입하지 않으면 섹스가 아니다. ㅡ캐서린 맥키넌 - P41

가부장제에서는 남성 역시 만들어진다. 가부장제는 전통적 남성성에 부합하는 특성을 높게 평가하고 이에 따라 남성은 무뚝뚝하고 감정을 절제하도록교육받는다. 남녀 모두 낡아빠진 성별에 맞는 특성을 장착하기 위한 사회화과정을 겪는다. 전통적 남성상에서 벗어나거나 여자처럼 행동하는 남자는남성성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여성과 똑같은 2등 시민 취급은 물론 성역할의 질서를 어지럽힌 대가로 처벌받는다.  - P42

표를 얻는 데에는 짐승 같은 촉을 가진 정치인들은 최고 수컷(Alpha male)을 선호하는 유권자들의 무의식을 누구보다 빠르게 이용한다. 캘리포니아 주지사인 아놀드 슈왈츠제네거(AmoldSchwarzenegger)는 2004년 공화당 전당 대회에서 공화당의 경제정책을 비판하는 자들을 "계집애 같은 놈(girliemen)"이라고 불렀다.  - P42

비판적 인종 페미니즘은 인종의 분류는 생물학적으로 당연하다는 생각에의문을 제기한다. 인종과 능력 사이의 생물학적 상관관계를 인정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평등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적극적 평등 실현 조치의 정당성은 크게 훼손될 것이다. 인종별 학력 평가 점수 정규분포곡선은 해당 인종의 "지적 능력(merit)"48을 반영한다고 보는 벨 커브(Bell curve) 이론도 타당할 것이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인종주의란 자연발생적 차이를 고스란히 사회에 적용한 정당한 이념이 된다. - P46

"차이란 고유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관계적이다" - P47

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 법 이론가들은 따라서 하나의 진실이라는 개념을 거부하며, 대신에 진실은 복수이고, 일시적이며, 개인들의 체험, 관점, 세상에서의 지위와 연관되어있다고 인식한다. - P58

포스트모던적 관점에서, 지식은 확정되거나 실증적으로 인정받을수 없는데, 피터 생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우리가 지식이라 생각하는 것은 언제나 믿음에 불과하다." - 그리고 "언어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실을 반영하거나 조응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76 진실을 뼈대가 드러날 때까지 끓이면 남는 것은 연기뿐이다. - P59

포스트모던 명제는 다음과 같다.
깊이 파고 들어가면 정의, 아름다움 또는 진실 같은 것은 없다.
ㅡ권력, 그리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만 있을 뿐이다. - P60

포스트모더니즘에 따르면,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독해이고, 따라서 거짓말은 있을 수 없다. 홀로코스트가 거짓인지, 여성들이 강간당하는 것을즐기는지, 흑인이 백인에 비해 유전적으로 지능이 떨어지는지, 동성애자들이 아동 성추행범들인지 여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게, 이러한사실적 사항들은 정확히 가늠할 수 없고, 불확정적이며, 실전에서는 모두 해석의 문제가 된다.  - P6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6-06 16: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미미 2023-06-06 19:10   좋아요 1 | URL
네! 시대적 변화 양상과 법률에 끼친 영향을 함께 보고 있는데 좀 어렵지만 흥미진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