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케의 편지들은 
한 젊은이가 시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통과의례처럼 겪어야 할 고독에 관한 각별한 강조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세상으로부터의 자발적 소외를 선택하고, 스스로가 겪고 있는 내적 고통을 응시하려는 의지야말로 시인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자질이라고 그는 힘주어 말한다. "꼭 필요한 것은 다만 이것, 고독, 즉 위대한 내면의 고독뿐입니다.
자신의 내면으로 걸어 들어가 몇 시간이고 아무도 만나지않는 것, 바로 이러한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여섯번째 편지」) 시인이 그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고독한 내면 속으로 자주 침잠하는 것은, 세상과 격리될 때
비로소 도달할 수 있는 순수한 실존적 자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해와 왜곡에 가려진 자아의 고유성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서라면, 시인은 타인의 배제와 세계로부터의 분리를 전제로 성립되는 고독을 기꺼이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 P142

새삼스럽게 릴케의 편지를 언급한 것은 구현우의 첫 시집
「나의 9월은 너의 3월」을 릴케의 편지에 대한 한 젊은 시인의 매력적인 답장처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건조한 리듬과 관조적인 시선이 돋보이는 구현우의 시집에서 우리가 우선적으로 주목하게 되는 것은 세상과 분리되어 있는 시인의 고독한 자의식과 독백적 어조의 말들이다.
- P1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