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 찾기 대소동 상상놀이터 15
안네마리 노르덴 지음, 원유미 그림,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라진 동생 안나를 찾아라! 얀의 안나찾기 대소동!


형제 자매의 경우엔 크면서 엄청 많이 싸우게 되요. 하지만 싸우면서 정든다는 말이 있듯이 싸우면서 서로를 싫어하고, 미워하는 듯 보이지만 무슨 일이 생기면 서로가 서로를 감싸고, 편들기 바빠요.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 얀과 안나도 마찬가지에요.

얀은 자신이 노는데 옆에서 함께 놀려고 하는 안나가 귀찮아 "꺼져"라고 했지만 막상 안나가 보이지 않자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안나를 찾아나서기 시작합니다.


안나가 좋아하는 장소, 좋아하는 물건, 좋아하는 놀이까지...

안나에 관해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오빠 얀.

하지만 그 어떤 곳에서도 안나를 찾을 수가 없었답니다.


그러다가 얀은 안나와 비슷한 토비를 만나게 되고, 토비의 모습에서 안나의 모습이 겹쳐보이면서 혼자 우두커니 앉아있는 토비를 그냥 두지 못하고 데리고 다니기 시작합니다. 토비의 모습에 짜증도 나지만 한편으로는 안나의 모습과 겹치면서 걱정하며 보호합니다.


결국 안나를 못찾고 토비와 함께 집에 돌아온 얀.

하지만 토비에게 얀은 자신이 위로받고 있음을 알게됩니다.


읽는 내내 정말 가슴이 따뜻해 지더라고요.

자신의 동생도 아니지만 어른처럼 토비를 챙기는 얀의 모습을 보면서 역시 첫째의 책임감은 다름을 느끼게 되더라고요.

저는 연년생 두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연년생이라 사실 크게 차이도 안나는데 언니에게 메달리는(하지만 키는 본인이 더 크면서... ㅡㅡa) 모습의 둘째를 보면 역시 첫째와 막내는 다름을 느끼곤 합니다.


이 책의 얀과 안나처럼, 저 아이들도 서로가 서로를 걱정하고 챙기는 모습을 계속 볼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아 I LOVE 그림책
앤드류 라슨 지음, 캐리 수코체프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


아이들이 이 책을 읽는, 아니 부모에게 이 책을 읽어달라며 가져오는 그 시점에 아이는 부모에게 이런 말을 주로 할 것이다.

"싫어!"

그러면 부모는 아이를 어르고 달래며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싫다고 하는 것은 나쁜 거야."라고...


하지만 과연 싫다는게, 좋아하지 않는게 나쁜 것일까?

그건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것인만큼 자아가 생겨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니, 어쩌면 그런 표현은 좋지 않은 것이 아니라 되려 좋은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렇듯 아이가 좋은 것과 싫은 것에 대해 표현하기 시작한 시점에...

그럼, 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의 아이는 수학을 싫어하고, 버스를 싫어하며, 학교는 싫지만, 그런 학교에서 친구들과 헤어지는 것도 싫어한다.

이 책은 아이들의 관심사를 "이야기"라 적어두었으나 사실은 아이의 좋고 싫음에 대해 말하고 있다.


다행이 다 싫지는 않은 모양이다.

문제는... 그 좋아하는게 고양이라는 것이 우리집에선 문제라면 문제랄까?

(아이들이 이 책을 보더니 하는 말이 우리도 고양이 키우자고... 아...놔... 되따!!!)


자신의 의지를 필역하는 모습.

그 모습을 보면서 억지를 쓴다고 생각하지 말고, 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해 줬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생님, 질문 있어요! 푸른숲 작은 나무 24
제롬 퐁생 지음, 이안 드하스 그림, 김자연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에 관한 이야기를 정말 유쾌하게 풀어낸 책.


사실 젠더에 관한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문제는 개념이 잡혀있지 않다는 것이다.

패미니즘이란 여성 상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여자들도 남자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게 해주자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동등한 조건이라 함은 신체적 차이를 인정하고 그에 합당한 대우를 하는 것인데, 어느 순간부터 우리나라에서의 패미니즘은 여자들만 잘살게 만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시작했다.


물론 여자들 사이에서도 신체적 조건 등이 차이가 나기도 한다.

그리고 여자들중 일부는 되려 남자들보다 더 좋은 신체조건을 타고나기도 한다.

사실 그렇기에 둘의 역할이 다른 것인데, 이걸 일반화하지 않는게 사회에 필요하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의 이런 일반화를 아직도 적용한다는 것!

아이들은 처음엔 선생님의 이런 말을 그냥 넘겼다.

하지만 듣다보니 엄청 불쾌해지는 것!


결국 아이들은 선생님의 말씀에 반발을 하고, 그 결과는 조사라는 숙제로 받아내고 만다.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과거보다는 확실히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있는 차별은 분명히 존재한다.

우리집만 보더라도, 아니 우리 동네만 보더라도 여자가 돈을 벌고, 남자가 살림하는 집보다는 여자가 살림하고 남자가 돈을 버는 집이 훨씬 많다.

하지만 그건 분명 둘이 잘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지 둘의 역할이 그렇게 정해진 것은 아니다.(또한 여자가 돈을 벌고 남자가 살림하는 집도 몇집 있다.)


성별의 차이로 인해 역할이 정해지는 것이 아닌, 성향의 차이로 역할이 정해질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하는 것!

그게 바로 젠더를 논하는 자세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흉가탐험대 - 양심이 깨어나는 시간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93
박현숙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 속에 있는 양심의 소리를 들어봐.


여름 캠프에서 사건이 일어났다.

그리고 그 사건으로 인해 한 아이가 죽었다.


모두들 그 사건을, 그 아이를 빠르게 잊으려 하지만 그럴수가 없는 아이들이 있다.


우리도 그렇지만 어떤 사건을, 상황을 보면 함께 힘을 합쳐서 헤쳐나가기 보다는 '나에게만 피해가 오지 않으면 되. 난 이대로 조용히 있을래.'라고 생각하며 해당 사건은 나와 무관한 사건으로 만들어버리곤 한다. 그리고 결국 그로인해 더 큰 피해를 입는 사람들도 생겨나기 마련이다.


아이들에게 그럼 진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 아이들이 나서지 못하는 이유는 단 하나!

학업에 지장이 생기니까...

부모도 아이들이 이 사건에 엮인게 실은 이유는 아이가 충격을 받을 것도 걱정이지만, 지금 이 중요한, 중3으로 올라가는 이 시기에 아이들이 그 사건으로 인해 공부를 안하게 될까봐서이다.


결국 주인공의 엄마는 그간 학원에도 보내지 않았다가 이 사건을 개기로 학원을 보내기 시작한다.

그것도 아주 그냥 뺑.뺑.이.로...!!!


결국은 모두 자신의 양심을 찾으며 끝이 난다


그런데 문제는 말이지!!!

그래서 사건이 뭔데?

대충 예상되는 사건이, 범인이 있긴 하지만 사건에 대한 이야기와 범인에 대한 이야기가 안나오고 끝나버린다.

그래서 이 책을 읽은 첫째양도 한마디 했다.

"엄마! 그래서 결론은 어떻게 된건데? 왜 죽은건데?"

그렇다. ㅠㅠ

요즘 아이들에겐 물론 이야기의 숨은 의도도 중요하지만 그래서 결론은, 왜 그런건데에 대한 말이 없이 이렇게 사건을 덮어버리듯 끝나면 화장실 갔다가 그냥 나온 느낌이랄까???!!!


결국 그런 결말로 인해 숨은 의도는 묻혀버리는 상황이 되어버려 아쉬움이 남는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마음이 잘 지냈으면 좋겠어 행복한 삶, 마음 Pick! 1
케이티 헐리 지음, 인디 그림, 조연진 옮김 / 픽(잇츠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초등학생들의 우울증에 걸리는 비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고 해요.

이유는...

말 안해도 아마 다 아실 듯.

학교-학원-학원-학원-숙제-숙제-숙제의 뺑뺑이에 갖혀있다보니 자신을 사랑할 시간이 없는거에요.

이런 아이들...

부모들이 보기엔 마냥 행복하고, 너무 많은걸 갖었기에 반항하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마음이 아픈거라죠.


이런 아이들을 위한 책이 나왔어요.


사실 어른들을 위한 우울증 검사하는 항목이나 책들은 많이 존재합니다.

거기에 마음 치료를 위한 책도 많이 존재해요.

그렇다보니 어른들은 자신이 스스로 "지금 우울감이 너무 높구나"를 어느정도 인지할 수 있도록 사회에 제도적으로 분위기적으로 잘 마련되어 있는데 비해 아이들은 아직도 "애들이 무슨 고민이 있다고..." 혹은 "애들이 복에 겨워서 저런 소리를 하지. 배가 고파봐야해"라는 식으로 아이들의 우울감을 덮어버리려는 현상이 너무나 강해요.


이 책은 이런 우리 아이들을 위한 마음을 지키는 책이에요.


그냥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게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문항을 작성하고 점수를 확인하면서 자신에게 닥쳐있는 문제점이 무언가를 확인하도록 책이 구성되어 있어요.

그렇다보니 아이들이 정말 신기해하며 재미있게 질문에 답을 하더라고요.


다행일까요?

저희 아이들은... 아주 정상적이라고 합니다.(하긴... 학원도 안다니니 뭐... 그렇다고 엄마와 아빠가 100점 맞아오라고 하는 것도 아니고... 허허허~~~)


아이들에게 과연 무엇이 가장 필요하고, 어떤게 가장 행복한 삶일까요?

아이들에게도, 부모들에게도 아이의 속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을 때 함께하면 더 없이 좋은 책이 아닐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