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실격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본 리뷰는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책서평 #책리뷰 #인간실격 #스타북스 #다자이오사무 #체크카페서평단

인간실격 책은 읽으면서도 딱딱하고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많았던 책이였어요 이해가 안되니 진전도 늦고..
아직 책을 받아들이기에 문해력이 딸리나 보다로 혼자 결론 내렸던 책이었는데, 그 내용을 따라 가다보면 어느새 주인공이 개개인 누구나의 모습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지금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책이 아닐까?
자기 가치관이 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는 시기에서 누군가에 비춰지는 자신을 바라보게 되면서 몇 개의 가면을 쓰고 있는 자기를 돌아보는 경험, 전 있었거든요 가면 속 안의 내 모습은 무엇이고 '나는 어떤사람인가' 라는 고민을 많이 했었던 거 같아요
이 책에서는 정상과 비정상을 경계로 묻습니다.
과연 누가 인간답고 누가 인간답지 않은가?
일이거나 또는 인간관계에서 살다가 자기 입장을 강력히 주장해야만 할 때 있죠. 이렇게도 생각하고 저렇게도 생각할 수 있는거라 상황에 따라 보여지는 나와 묘사 되어지는 나, 가면을 쓰고 있는 나, 내가 증명해 내야 하는 나 등 어떤 대처에서는 인간다운 행동이었다 할 것이고 어떤 대처에서 인간답지 못하다 할 텐데.. 뭐 그런 게 아닐까 싶어요

한 남자의 사진을 석 장 정도 보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주인공 오바 요조의 삶을 세 편의 수기 형식으로 풀어낸 자전적 소설인데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고뇌를 많이 담고 있어요 같은 부분을 몇 번 읽었지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어요
부유했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행복의 관념이 전혀 다른 것에서 생기는 불안이 아마도 이야기 속 내내 있었던 거 같아요 가족 내 너무 무서운 아버지 존재도 주인공이 인간실격이 되었다고 느끼는데 그 수기를 통해 그를 들여다 보며 그의 생각을 느끼게 됩니다
요조의 ‘광대짓’이 최소한의 인간다움으로 묘사하는데
그는 진정한 자아를 드러내는 것이 두려워, 가면을 쓰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결국 그 가면조차 무너지고, 그는 자신이 인간으로서 실격당했다고 느낍니다. 이 ‘실격’은 단순한 도덕적 실패가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주체성을 잃어버린 상태를 의미합니다.
음.. 그는 결국 가면 속 자기를 이해하지 못해 스스로의멘탈이 약해진 거 같아요 그러면서 저기 주체성도 잃어버린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이야기는 한 화자가 오바 요조라는 인물의 세 장의 사진을 보며 시작됩니다. 각 사진은 요조의 인생의 다른 시기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그의 삶을 되짚는 형식으로 전개됩니다.
첫 번째 수기: 어린 시절
요조는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부터 사람들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느낍니다. 그는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며, 자신의 진짜 모습을 숨기고 ‘광대짓’을 하며 사람들의 호감을 얻으려 합니다. 이 시기의 요조는 이미 인간관계에 대한 깊은 불신과 소외감을 품고 있었고, 내면의 고립은 점점 심화됩니다.
두 번째 수기: 청년기
중학교 시절, 요조는 타케이치라는 친구를 만나고,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퇴폐적인 생활을 하는 친구 홀이키와 어울리게 됩니다. 이 시기에 요조는 쓰네코라는 여성과 사랑에 빠지지만, 그녀와 함께 동반자살을 시도합니다. 쓰네코는 죽고 요조만 살아남게 되며, 그는 깊은 죄책감과 자기혐오에 빠집니다. 이후 그는 대학을 중퇴하고, 술과 마약, 여자에 의존하며 점점 더 타락해갑니다.


세 번째 수기: 성인기
요조는 만화가로 생계를 유지하며 시즈코라는 여성과 동거하지만, 그녀의 삶을 망치고 있다는 생각에 스스로 떠납니다. 이후 요시코라는 여성을 만나 결혼하지만, 그녀가 성폭행당하는 모습을 무기력하게 지켜보며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합니다. 그는 점점 알코올과 마약에 중독되고,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요조는 자신을 ‘인간 실격’이라 칭하며, 사회로부터 완전히 소외된 존재로 남게 됩니다.

인간의 본질, 자아와 타자, 사회적 규범과 개인의 고통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요조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인간됨의 의미,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난 진정한 자아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됩니다.
요조는 거절을 못하는 성격 때문에 타인에게 휘둘리고, 상처를 두려워해 관계를 회피합니다. 그의 고통은 단순한 나약함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외로움의 결과입니다 만약 사회에서 그를 이해하는 따뜻한 시선, 예전에도 지금도 찾기는 어렵네요.
“우리는 모두 부족한 존재이며, 서로 도우며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면서
과연 난 타인을 이해하고 살고 있을까?..
요조가 자기 마음을 터놓을 어느 하나라도 있었더라면 그의 인생은 변하지 않았을까 ?.. 하는 씁슬한 생각도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