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백신 - 보건진료소장의 삶을 성장시킨 독서 이야기
홍선경 지음 / 바이북스 / 2022년 9월
평점 :
|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한 달 전 독서리셋이라는 책을 읽었다. 독서가 인생을 리셋 시킨다는 말이 가슴에 와닿았었다. 그래서 독서를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 하며 독서법에 대한 책들을 찾아 읽게 되었다. 독서법에 대해 “독서리셋”과 “세상을 이끄는 상위 1%의 비법 독서법”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같은 주제를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할 때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재미가 있었다. 그래서 또 다른 저자는 독서법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고 이야기할까 하는 호기심을 갖고 책을 고르던 중 “독서백신”이라는 책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독서와 백신이라는 생경한 조합은 강렬하게 호기심을 자극했다.
| 이 책의 작가는?
저자 홍선경은 보건 진료소장이다. 그녀는 25년 동안 시골의 보건 진료소에서 일하면서 독서를 왕성하게 하는 가운데 자신에게 시 쓰기에 대한 열망이 있음을 깨닫고 틈틈이 시를 써서 “청문회에 나온 개구리”라는 시로 <월간문학>에서 신인작품상을 받았다. 저자는 독서를 통해 생각의 근육을 만들 수 있고, 생각의 근육이 인생을 위협하는 아픔들에 대항할 수 있는 항체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여 독서백신이라는 책을 썼다고 한다.
| 이 책의 주제는?
인생을 살면서 반복된 좌절은 사람을 불안하게 하고, 무기력하게 한다. 불안과 무기력에 삶을 지배당한 사람은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독서는 불안과 무기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한줄기 빛이요 희망이다. 진정한 독서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책을 몰입해서 읽고, 읽고 나서 중요한 내용과 자신의 생각을 기록으로 필히 남겨야 하며, 독서토론을 하여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들을 수용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읽고, 쓰고, 토론하는 과정이 통합된 독서는 인생의 어떤 위기에도 대항할 수 있는 백신이 된다.
| 이 책의 구성은?
1부 독서 이전의 삶과 이후의 삶은 달랐다.
저자는 독서의 의미를 진정으로 이해하기 전까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사회가 강요하는 대로 살아왔음을 ‘풀 먹는 호랑이’에 빗대어 말한다. 돈을 최우선의 가치에 두는 자본주의의 노예가 되어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삶까지도 과도한 경쟁 속에 몰아넣고 인간성을 메말라가게 했음을 고백한다. 하지만, 독서를 통해 저자는 자신이 시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시를 써서 발표하기에 이른다. 자신의 쓴 시를 통해서 알게 된 인연들과 소통하면서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는 ‘나’와 ‘너’를 넘어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함을 깨달았음을 이야기한다.
2부 독서는 나에게 말했다.
저자는 독서는 인간의 본질, 즉 내가 누구이며,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야 할지에 대해 깨닫게 해주며, 이런 본질을 탐구하는 독서를 추구할 때, 사회적 억압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내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독서는 번식의 생명력이 있어서 또 다른 독서로 뻗어나가게 하는 속성이 있다. 독서의 점과 점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어두운 밤하늘을 밝히는 별과 같은 새로운 통찰이 생긴다. 독서를 하다 보면 오감의 촉수가 예민해진다. 가슴에 와닿는 문장들이 많아지고, 단어 하나, 글자 하나에서도 감동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독서의 끝에는 사랑이 생긴다.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게 되고, 책 속 인물들에게 연민 혹은 동질감을 갖게 되면서 깊은 관심이 생기고 그 마음은 자신의 주변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3부 독서는 약이다.
저자는 독서백신의 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독서는 자극 각성제다.
자신의 한계를 도끼로 깨부수게 하여 삶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한다.
-독서는 사고 심화 확장제다.
사색하는 시간을 갖게 하여 사고를 깊어지게 한다.
-독서는 생각 근육 강화제다.
생각 근육이란 논리력, 추리력, 상상력, 통찰력 등을 포함하는데, 독서량이 많아질수록 생각 근육이 늘어나서 책에서 더 많은 지식들을 캐낼 수 있게 된다.
-독서는 자아계발제다.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찾게 되고, 자신 안에 있는 별을 찾게 해주며, 나답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
-독서는 힐링 안정제다.
자신의 아픔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해주고, 고통 속에서 새로운 메시지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독서는 희망 발아제다.
자신 내부에 있는 열망을 발견하게 해주며, 꿈을 실현하는 원동력이 되어준다.
-독서는 조망수용능력제다.
조망수용능력이란 타인을 자기 입장처럼 생각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다.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담긴 책들을 읽으며 타인에 대한 연민과 사랑이 생긴다.
-독서는 삶의 혁명제다.
의식의 변화를 유도하여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자신과 연결된 사람들과의 관계를 변화시켜 삶의 혁명을 일으키도록 한다.
4부 독서 항체를 만드는 독서백신
독서백신은 단순히 책을 눈으로 읽는 독서가 아니다. 책을 읽고, 쓰고, 토론하는 총체적 활동을 통해 탁월한 독서의 효과를 온전히 얻는 활동을 말한다. 독서백신을 통해 자신의 삶을 치유할 뿐만 아니라, 한사람 사람의 독서백신 효과가 모여 사회 구성원 전체가 독서 항체가 생기도록 한다면 집단면역에 이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집단면역이란 사회에 어떤 위기가 있더라고 구성원들 모두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은?
“독서의 마지막 종착지는 ‘사랑’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갈수록 ‘사랑’을 확신하게 된다.” 이 구절은 독서백신이라는 책 제목을 접했을 때 내가 느낀 이과 계열의 느낌과 너무 거리가 멀어서 잠시 당황했다. 독서의 목표는 나에게 있어서 좋은 아이디어를 얻어서 실생활에 적용하여 개인적인 이익을 얻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독서는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고, 독서의 깊이가 더해질수록 타인에 대한 이해가 관심으로 이어지고, 그 관심이 사랑으로 변화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사랑에 바탕을 둔 삶이야말로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만든다고 이야기한다. 이 부분에서 나는 독서의 깊이와 넓이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저자의 말을 100% 공감할 수준까지 여러 차례 독서백신을 맞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추천대상은?
시인의 감성으로 쓰여 있어서 감수성 풍부한 사춘기 청소년들이 읽으면 독서에 깊이 빠질 수 있는 책이 아닐까 한다. 쉬우면서 아름다운 표현들로 독서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라도 편하게 독서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고 하겠지만, 자녀들을 무한 경쟁 속에 빠뜨리기 쉬운 학부모들이 읽는다면 자녀들을 나답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인도해 줄 수 있어 더욱 유익할 거라고 생각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독서백신 #홍선경 #바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