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번 시간에는 약속한 대로 디지털 정신분석의 실제 사례를 보시겠습니다. 


제가 이 부분은 각주에서 잠깐 언급을 하고 책에는 싣지 않았던 부분입니다.


내용은 불면증입니다. 


예전에 어느 인터넷 커뮤니티 카페에서 알게된 사람이었습니다.





한동안 잠을 이루지 못해 힘들어 하는 지수라는 남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경제적으로 부유하진 않아도 사랑하는 여자친구도 있었고 
그를 좋아하는 여자애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훈남이겠지요.
 
그래도 이 친구는 자기 여자친구인 미영이가 제일 좋다고 했지요.

그에게는 영준이라는 막역한 친구가 있었습니다.

 어릴때 부터 함께 자라온 막역한 사이이기도 했었지요.

지수는 영준에게 미영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영준이도 꽤 미영이에게 잘해주었고 빠른 속도로 친해졌습니다.

그런데 영준은  지수처럼 여자친구를 딱히 사귀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주변에 여자친구들은 있었고 그중 몇명은 영준에게 좋아한다고 고백도 했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지수에게는 하루에 2시간 이상 잘 수 없는 불면증이 찾아왔습니다.
 
그 덕에 지수의 생활패턴은 엉망이 되었고 

계속하던 알바도 몸이 좋지 않아서 그만두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습니다.

그 때 저와 비공식적인 분석들이 이루어졌었습니다.
 
그 커뮤니티 카페에서 알게된 지수와 여러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어떤 것들이 저에게 감이왔다고 해야할까요?

그래서 지수가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를 하도록 계속 들어주었었습니다.

그러자 점차 지수가 영준에게 가지고 있는 감정들이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이야기를 계속 이어나가다가 그는 

미영이를 빼앗길것 같은 두려움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

"지금까지 잠을 못잔 것은 만약에 미영이가가 영준이와 더 친밀해지는 것을 막기위해서 
잠을 포기하는 '파수꾼'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그런것 같습니다. 미영이를 영준이에게 뺏길것 같아요... 그게 무섭습니다."

그는 두려움을 표현하기 시작했고 그 뒤로 몇번 더 이야기한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기록을 남기지 않았던 상담이라

 나머지 이야기들은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만 
그 몇번의 상담이후에 .,

지수로부터 이제 잠이 오고 이전보다 많은 시간을 잘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파수꾼'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지 못했었습니다.

그에게서 잠을 쫓아버리는 병리적인 관념은 의식에 떠오르지 않고

 숨어서 그의 갈등을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에는 저도 신기하기도 했었습니다. 

실제만남이 아닌 채팅을 통해서 이런것들이 실제로 이루어 졌으니까요.

 그러나 이후로는 분석을 이어가지는 못했습니다. 

수면을 취할수 있게 되고나서 지수가 일상생활을  회복하는 것이 더 중요했었으니까요.

게다가 지수가 계속  분석을 이어갈 의사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파수꾼의 내용이


 지수의 무의식에서 활동성을 가지고 작용을 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분석의 경우에 제 경험에서는 빠른시간에 호전이 되는 분석은 어떤 경우로도 재발의 경로를 거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 이야기 한 지수의 경우는 제가 다시 이야기할 기회가 없었지만 다른 분석에서는 빠른 효과 이후에 분석을 일찍 그만두게 되면 얼마간의 시간 이후에 재발로 다시 찾아오게 되는 경우들이 있었습니다.


증상은 하나의 결과물로 삶 전체에 그 단서가 퍼져있고 일시적으로 괜찮아 졌다고 해서 그 것이 치료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말도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정신분석 페이스북페이지 바로가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불면증과 관련해서 한번 이야기를 이어나가 볼까 합니다.


저의 책에서도 불면과 관련된 이야기는 조금 이야기를 하지요. 


그러나 여기는 책을 안보신 분들도 계시니까 한번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에 썼었던 내용입니다.

 


우선 불면이란 왜 생길까요? 나는 자고 싶은데 잠이 오지 않거나 잠 들수 없거나...대체 왜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게 되는걸까요?

우선 불면증에 대한 말 중에서 '자아의 휴식거부'라는 것이 있습니다. 

왜 자아가 휴식을 거부할까요? 

다양한 경우들이 있겠지만 그 것들을 압축하게 된다면 이런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불안, 초조, 두려움의 감정이지 않을까요?

이 것은 성취를 기다리지 못하고 조급한 것도 포함하고 자신이 바라는 것에 대한 것 역시도 포함합니다. 

그리고 두려운 것과도 관련이 되는거고요.

혹은 생각이 너무 많아서 잠들지 못한다는 것 도 있습니다. 이때는 어떤 증상과 결부된 형태인 때도 있습니다.

우리의 자아가 이러한 것들에 직면해서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면 어떤가요? 자아는 경계태세를 취해야 합니다. 잠들면 안되고 주변을 살피며 자기자신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겠지요. 

우리가 잠이 들면 그 때 자아도 쉽니다. (조금 어려운 이야기이긴 하지만 초자아는 완전히 자는 법이 없다고도 해요)

그런데 자아를 쉬지 못하게 하는 것들이 있어서 불면증이 왔다고 해봅시다. 문제는 우리의 의식에는 자아를 쉬지 못하게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알수 없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래서 급기야는 수면제 처방을 받기도 하죠. 

하지만 전의식(잠재의식)은 조금의 노력을 기울이면 의식화가 되니까 불면을 일으키는 원인이 전의식에 있다면 이것은 혼자서 찾아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무의식'에 있다는 가정을 세워보면 어떨까요? 이 때는 혼자서는 도무지 찾을 수가 없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처럼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제책에도 싣지 않은 불면과 관련된 분석사례를 통해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ps 디지털 정신분석 페이스북 페이지가 생겼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양한 자료들을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디지털 정신분석을 받으실 수 있는 통로도 제공합니다.





클릭 하시면 디지털 정신분석 페이스북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낯선이 입니다. 


여전히 일상은 공부하고 책읽는 일상의 연속입니다. 


아직도 공부할 것은 무척 많네요. 


부족한 작품이지만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억압'과 무의식에 대해서 잠시 이야기를 더 해보고자 합니다.


흔히 정신분석 서적에서 읽을수 있는 내용 중에서 


'무의식을 억압'한다 라든지 '무의식의 억압'이라는 말을 볼 수가 있습니다.


제 책을 읽어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무의식이 왜 생길까요? '억압'의 결과로 생깁니다. 


그리고 그것이 되 돌아오는 것이 '신경증'이나 '정신병'입니다.


그럼 무의식이 '억압'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면 


억압은 어디에서 일어나는 것일까요?


각종 정신분석 관련 저서를 읽어보셨던 분들은 이런 질문을 충분히 던질 수 있습니다. 그럴 권리도 있을 거고요. 


여기서는 제가 비유같은 설명은 건너뛰도록 하겠습니다. 


억압은 '자아'에서 일어납니다. 자아가 받아들이지 못해서 '퇴출'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퇴출'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이 바로 '무의식'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옆의 전자책을 발간한 저자 낯선이 입니다.


하하...조금은 부끄러운 면이 있습니다. 


정신분석과 관련된 책의 저자들이 아직 많이 없는 상황에서 일부 정신과 전문의 혹은 교수님들이 집필하게 되는 '정신분석'과 관련된 저서를 집필하게 되어서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지털 정신분석은 새로운 정신분석의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방식이 정신질환당사자들에게 유효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은 어쩌면 '필연'일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좀 거창하게 들립니다. 왜 '필연'인지요. 


정신분석에서는 우연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필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연재를 통해서 여러분들과 프로이트에 대한 이야기들을 좀 더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의 책이나 글을 통해서 기존에 알려진 것과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 것들을 발견하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주부터 연재 개시합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이트를 읽음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용어가 바로 '본능'입니다.


어디서는 '본능'이라 하고 어디서는 '충동'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좀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프로이트 원서의 단어를 보시고 사전에서 찾아보시면 금방 납득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trieb 가 본능으로 나오는지 검색해보셔도 될거고요.


그런데 아직도 본능이라는 말은쓰여지고 있고 


우리는 본능과 충동의 차이를 구분지어보아야 합니다.


대체 이 차이는 무엇으로  나눌 수 있을까요?


프로이트는 본능이라는 단어를 쓸 때 동물과 관련을 지었습니다. 


인간과 관련해서는 '충동'이라고 씁니다. 


따라서 지금 보시는 프로이트 책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본능' 혹은 '본능충동'의 부분에서


본능을 '충동'으로 바꾸거나 지워버려도 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런데 본능이나 충동을 어떻게 구분을 지어야 할까요?


우리는 본능에 대해서는 미리 사전에 '주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것은 우리가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딱 그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입니다.


'더 이상'이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주기성역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충동에서는 '더 이상'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동물의 세계에서 배부른 사자는 먹잇감에 대해서 눈길도 주지 않습니다. 


자신이 먹을 만큼만 먹습니다.


그리고 동물의 경우는 발정기가 있고 그 발정기 이외에는 번식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인간은 어떻습니까?


음식을 배고파서 먹는 것이 아니라 즐기기 위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섹스 역시도 생식을 위해서 하기 보다는 만족을 위해서 할 수 있습니다.


특징 적인 것은 '더 이상'을 요구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요 이상을 요구한다는 말이 됩니다. 


바로 이 부분이 과잉으로서의 결핍을 불러오는 부분과 직결이 됩니다.


그렇다면 정신분석적으로 심리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충동이라는 단어를 채택하는 것이 옳습니다.




ps. 인간에게는 발기부전이 나타납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하면 나타나게 되는데요. 


본능에 따른다면 발기부전이 일어나는게 맞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