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허에 대하여 - 삶은 비운 후 비로소 시작된다
토마스 무어 지음, 박미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저는 더불어 있을 때 오히려 공허한 적이 종종 있었어요. 인정받고 더 좋은 관계를 원하는 욕망이 있어서 공허했을까요?
저자는 공허함을 느끼고 방황하는 것은 본인이 어떤 욕망을 따라서 이리저리 헤매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공허함은 무언가를 채워야 한다는 집착에서 비롯됩니다. 업무적인 성공, 결혼, 인간관계 등 외부적인 조건으로 마음을 채우려 해도, 그 성공을 이루고 나면 또 다른 허전함이 찾아오게 마련입니다.
마음이 채우고 비워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음은 시시각각 변하므로, 좋은 마음이 일어났다고 집착하거나 싫은 마음이 일어났다고 괴로워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하고 싶습니다.
저는 스케줄을 평소에 꽉 채우려고 하는 편인 거 같아요. 바쁘게 지내야 된다는 강박이 있는 편인데요. 저자는 현대인이 스케줄, 물건, 감정, 욕망 등으로 삶을 끊임없이 채우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영혼을 무겁게 만들고 허무함을 느끼게 한다고 지적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비울 줄 알아야 합니다. 일상의 빈자리, 대화 사이의 정적, 느슨한 시간을 억지로 채우려 하지 않고 작은 명상으로 받아들일 때, 비로소 자기 생각과 가슴 뛰는 소리를 듣고 자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음의 근본적 공허를 메우려 끝없이 정보를 쌓고 지식을 익힙니다. 그 양의 압도당하면서도 축적을 애쓰는 것은 불안을 감추려는 몸부림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고요함, 공허가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오히려 충만하게 할 수 있음을 느낀 책이었습니다.
저자는 충만함은 텅 빈 상태에서 시작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행복 역시 노력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선물과 같아서, 행복을 억지로 채우려 하지 않고 비워두어야 비로소 그 충만함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