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 해당 도서는 열린책들 출판사로 부터 가제본으로 제공받았습니다 >
지난번 바움가트너 가제본 넘버링 한정판에서 이슈를 끌어서인지, 이번에도 가제본인데 넘버링을 해서 200부를 서평단으로 200번이후에는 북튜버들에게 배부된 듯하다. 요즘 열린책들이 열일하는 듯. ㅎㅎ
베르베르 형님은 애증이다. 언제 마지막으로 보았나 생각해보았는데 #제3인류 6권짜리를 읽고 이후에는 안본듯 했다. 읽는 속도보다 신간이 많이 나와서 인 듯 싶다. 이번에 키메라의 땅을 읽고나서는 역시 베르베르가 베르베르 했다고 생각했다.
키메라의 땅은 인류멸종을 대비한 신인류의 개발을 목적으로 작은 프로젝트 연구로 시작된다. 정부와 비밀 합작으로 연구하던 곳에 우연히 기자가 침입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고 개발자 주인공 '알리사'는 살해 위협까지 받게 된다. 그의 친구가 알리사의 연구를 돕고자 안전한 곳으로 보내주게 되는데 그곳은 지구로 부터 떨어져있는 우주정거장이다. 알리사는 우주로가서 키메라 프로젝트를 계속하게 된다. 근데 얼마뒤 지구에서는 제3차 세계 핵전쟁이 잃어나게 되고 지구에서 수많은 버섯구름을 보게 된다. 여러 우주정거장끼리도 공격을 하지만 알리사가 있는 우주정거장 만이 간신히 남게 되는데 , 이들이 버틸수 있는 시간은 1년이다. 1년동안 알리사는 키메라프로젝트를 완수하게 되어, 3종의 신인류를 탄생시킨다. 박쥐와 인간을 혼종한 날아다니는 인간 에어리얼, 두더지와 인간을 혼종한 땅속을 다닐 수 있는 인간 디거, 돌고래와 인간을 혼종한 물속에서 살 수 있는 인간 노틱을 만들어내고 이들과 함께 지구에 내려간다. 방사능때문에 전멸 했다고 생각했는데 , 방사능이 적은 땅속에서 소수의 인간들이 살고 있었고 그곳에서 혼종인간과 함께 살게 된다. 앞으로 혼종인류와 사피엔스인류는 어떻게 공생하면서 살게 될까?
이것이 작품의 초반의 이야기이다. 굉장하지 않나? 이야기가 생각해보면 약간 DC만화 X맨을 상상하게도 하고, 아바타2에 나오는 아바타 종족들도 생각이 났다. 가제본의 경우 합본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굉장한 두께를 보이는데 종이의 두께도 두껍고, 해서 실제적으로 페이지는 600페이지이다. 실제 판본 나온것을 보니 2권짜리로 나왔다.
키메라의 땅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이전 작품들의 집약체라고 볼 수 있다. 개미에서 보았던 군집 세계의 소재, 신 이라는 작품에서 보았던 인간이 신이 된다면의 가능성을 탐구한 소재, 제3인류에서 신인류의 탄생이라는 소재, 파피용에서 인류가 지구에서 떠나는 소재 등등 많은 작품들이 이 키메라의 땅에 녹아져 있는 것 같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재미있던것은 작품속 챕터 사이마다 백과사전이 나오는데 이것도 작가의 작품중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 백과사전을 옮겨놓은건데 이 작품에서는 이것을 쓴 사람의 후손이 나온다는 것이다. 발상이 아주 독특하고 재미있다.
두꺼운 작품이지만 작가의 필력이 아주 좋기 때문에 쭉쭉 읽을 수 있다. 페이지 터너, 이것이 베르베르의 최대 강점이 아닐까 한다.
마지막 여름이 지나가고 있는 요즘 , 넷플릭스 보지말고 키메라의 땅을 보는 건 어떨까 싶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