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카인드 (리커버 특별판)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도서 #인플루엔셜출판사 #뤼트허르브레흐만 #휴먼카인드 #지원도서 #인문학도서 #신간도서 #리커버도서 #개정판도서 #책스타그램

#베스트셀러 #리커버특별판 #리커버


일단 예전부터 이번 표지말고 이전 표지는 익히 봐온터라 익숙하다.

그리고 작가의 이름이 워낙에 어려워서 잘 외워지지 않아서 더 기억에 남았던 책이다. ㅋ 


지금 #유발하라리 의 #인류3부작 중에서 #사피엔스 #호모데우스 를 읽고 있는 중이라 이 책을 집어 들어서 읽게 되었을때 무지렁이 머리속 보다는 훨씬더 재미있게 보았던거 같습니다. 조금 오래전에 지금도 인기리에 읽히고 있는 #다정한것이살아남는다 라는 책과도 비슷한 결의 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유발하라리 (나랑동갑내기 친구) 가 추천하는 책이라고 띠지에도 똭 되있는더라 독자들은 더 혹해서 구매하실 수 있겠더라구요. 출판사마케팅 좋습니다. 뭐 유발하라리 말고도 다른 전세계 지식인들이 추천사가 엄청나더라구요.

21년도에는 희망을 선사하는 책으로도 선정되었다고 하니 더 기대하고 보셔도 좋을꺼 같네요. 요즘 희망을 주는 소식은 별로 없던터라 이러한 책들이 많이 읽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일단 이책은 감춰진 인간의 본성에 대한 희망적인 이야기를 해주고 있는데요. 여지껏 총균쇠,사피엔스,이기적유전자 등등등 다른 책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느낌이 들었었고 사람들 대부분이 인간은 악하다는 성악설 쪽으로 생각을 하실텐데 이책은 피자마자 인간의 본성은 선함으로 부터 나온다라고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책을 펼치면서부터 희망적인거죠. 저자는 휴먼카인드 부제처럼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라는 점을 그냥 말로써가 아니라 실험..아니 어느 사건이나 사고 , 자료 같은것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일들을 바탕으로 인간본성의 선함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그냥 다른책들에서는 성악설이다 성선설이다 말해주는 것과는 다른 포인트 같습니다. 독자에게도 여러가지 사건에서 보여주는 인간의 선함을 증거로 보여주기 때문에 읽다보면 아… 우리가 정말 무의식에서는 선함을 추구하고 있구나.. 그래서 호모사피엔스가 살아남았던 것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성악설 #성선설 이런 이야기 조차 뜨거운감자 일 수 밖에 없는데요. 어느것이 절대적인 진리인지는 밝힐 수 없지만, 저는 저자가 이야기 해준 우리 호모사피엔스 들은 “위기의 순간, 인간은 선한 본성에 압도당한다.” 라는 이기적인 유전자인 인간이라는 성악의 프레임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되었던거 같습니다. 그래서 책의 제목도 휴먼 is 카인드 였을 테니까요. 


이 작품은 다소 많은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지만 저자의 입담으로 페이지를 후루룩 넘길 수 있었고 페이지 페이지 마다 밑줄을 안그은 곳이 없을 정도 입니다. 이책이 가장 추천하고 싶다고 생각 되는것이 우리의 편향적인 생각을 반대로 깨우쳐 주는 작품이라 적극적으로 추천을 하고 싶은 도서이기도 했습니다.


여러분들도 지금 읽고 계시는 책들이 어둡고, 슬프고, 우울한 작품을 읽고 계시다면 지금한번 희망적인 이 #휴먼카인드 책을 읽어 보시는건 어떨까요?


저는 이제 읽고 있는 호모데우스를 마무리 하러 가보겠습니다. 흐흐흐 다시 인간이 문제라는 작품속으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란쿤데라 정체성 책소개 해드립니다
  • 정체성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민음사 2012-05-18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청 감사합니다. 북튜버 솔로몽북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기 인간
알도 팔라체스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협찬받아 쓴 서평입니다)


‘최혜진’ 디자이너는 dalle-2라는 인공지능 툴로 이 책 표지를 디자인 했다고 한다. 작가인 ‘알도 팔라체스키’가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문학사조인 ‘미래파(futurism)’에 속한다고 하는 걸 보면 과연 잘 어울리는 표지 디자인이다. 다만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감상은, 미래파란 미래에 대한 사상이라기보단 과거엔 없었던 글의 형태 또는 현재의 수많은 글들과 다른 어떤 무언가에 가까운 듯 하다. 어쩌면 미래에 도래할지도 모르는 글의 스타일이여서 ‘미래파’라고 이름 지어진 걸까? 소설 <연기 인간>에 미래라는 소재를 대입해본다면, 주인공인 ‘페레라’는 미래에서 온 인간이라고 해도 그럴싸하다. 흔히 너무 발전된 과학은 마술처럼 보인다고 하지 않던가. 연기로 이루어진 인간인 ‘페레라’는 대중에겐 기적과도 같은 존재이고, 자신과는 다른 영웅이다. 사람들의 반응이 재밌는게 그가 ‘연기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하고 의심없이 바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중책인 ‘새 법전의 편찬’을 맡긴다. 사람이 어떻게 연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의 출생은 도대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대중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의심하지 않고 그저 받아들인다. 주인공의 그런 원인모를 이질감은 그를 바로 인기스타로 만들고, 모든 이가 그의 곁에 몰려든다. 이는 결말에서 그가 불분명한 이유로 자택구금 처형을 받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세상사가 이와 같다. 어떤 사람을 인기인으로 만든 원인은 바로 그를 추락시키는 이유로 작용할 때가 있다. 연예인, 영웅과 같은 사람은 유명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토록 그 자신의 존재가 끊임없이 위협받기 때문에, 종종 불안감에 휩싸이고 불면에 시달리고 마약을 찾게 되는 것 같다. 언제 추락할지 모른다는 ‘실존의 위협’은 영웅의 숙명이다.


그러나 이 소설의 주인공, 연기 인간 ‘페레라’에겐 그런 실존의 위협은 없다. 그는 너무 가볍기 때문이다. 소설의 마지막 장면인 재판에서 그는 자신을 <나는 가볍습니다> 라는 말 하나로 변호한다. 어쩌면 그에겐 변호따윈 필요 없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는 세상의 질서에 얽메이기엔 너무 가볍기 때문이다. 그에 비하면 우리는 너무 무겁다. 살면서 맺어야 하는 어쩔 수 없는 관계들이 너무 많다. 살면서 필요한 물건이 너무나 많다. 하루를 보람차게 보내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다. 우리는 친구를 만나지 못하면 외로움을 느끼고, 밥을 먹지 않으면 허기짐을 느낀다. 연기 인간에겐 그런게 없다. 그래서 그는 인간을 초월한 존재이고, 새로운 법전을 편찬하기에 알맞은 존재다. 그런데 어느 순간 모함을 받고, 자신을 적극적으로 변호하지 않았기에 대중은 그를 외면하기 시작한다. 오히려 역설적인 부분이다. 진짜로 무거운 대중들은 ‘너무 가볍다’. 진짜로 가벼운 페레라는 ‘너무 무겁다’. 모함에 대한 변호조차 하지 않는다. 대중은 자신의 의견을 바뀌는데는 아주 순식간이다. 생각이라는게 별로 없는 것처럼도 보인다. 이 책의 특징이기도 한 익명성 - 누구의 대사인지 도대체 몇명이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글의 전개 방식 - 은 그런 대중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들에겐 찬양할 존재가 필요하고, 비난할 존재가 필요하다. 그게 누구이든 상관없다. 심지아 둘이 동일한 사람이여도 상관없다. 어제 찬양했지만 오늘 비난해도 상관없다. 그들에게 필요한건 그저 쏟아냄(무거운 자신을 덜어내려는 듯한?)이다. 폭식 후에 바로 구토하듯이 아무 의미없는 입력과 출력이 반복된다. 대중은 ‘페레라’는 벌써 잊었을 것이다. 페레라를 사랑하던 한 여인만이 자신의 존재가 연기처럼 소멸하기 전까지 그를 잊지 않고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