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과 국경 - 청-조선의 영토 인식과 경계 형성
김선민 지음, 최대명 옮김 / 사계절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삼과 국경 : 청-조선의 영토 인식과 경계 형성 (김선민 著, 최대명 譯, 사계절, 원제 : Ginseng and Borderland: Territorial Boundaries and Political Relations Between Qing China and Choson Korea, 1636-1912)”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조선과 청의 국경 인식과 더불어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청나라와 조선 사이의 영토 경계와 정치적 관계를 다루고 있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소재가 바로 인삼입니다. 



책의 서문 격인 ‘들어가며’에서 흥미로운 사례 하나를 소개합니다. 저자는 조청 관계에서 영토 경계, 정치적 역학 관계, 무역 등에서 인삼이 차지하는 역할을 소개하면서 두 나라 간 연결된 역사적 맥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합니다.



책에서 저자는 인삼은 단순히 무역 등 경제적 가치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비롯되는 정치적, 외교적 수단이 되고 있음을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즉, 외교 관계, 정치적 역학 관계를 인삼이라는 경제적 수단을 통해 경제와 연결시켜 상호 연관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동아시아사를 해석함에 있어 일반적으로는 간과되기도 하는 경제적 이해 관계를 통해 역사를 해석하고 있고 이를 설득력 있게 풀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훌륭하다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경제를 구성하는 하나 혹은 여럿의 구성 요소가 정치적, 외교적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역사적 보편성을 도출할 수 있는 통찰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 책, “인삼과 국경”은 앞서 이야기했듯이 조선과 청나라 국경인식을 인삼이라는 소재로 흥미롭게 풀어낸 책입니다. 사실 만주와 조선의 경계에 대해서는 4군 6진이나 백두산정계비 정도만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청이 만주를 봉금 지역으로 지정한 사유와 더불어 그 의의, 그리고 그 봉금지역에 얽힌 조선과 청의 여러 지정학적, 역사적 역학관계를 통해 조청 관계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외교, 정치, 경제의 의존성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습니다. 



 특히 인삼, 영토 경계, 정치적 결정 등 이질적으로 보이는 요소들이 역사의 흐름을 형성하는 데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고 실제 역사에서 작동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는 점이 이 책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입니다. 



덧붙이는 글 : 책에서는 재배삼과 야생삼을 혼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구분하기 애매한 점이 있어 인삼이라 번역한 듯 합니다.그리고 책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것은 국경 지대의 야생삼이구요. 책의 내용 상 그렇게 이해하고 넘어가긴 했는데 우리 용법으로는 보통 야생삼을 인삼이라 칭하지 않아 약간 어색하긴 했습니다. 




#인삼과국경 #김선민 #최대명 #사계절 #부흥 #조청국경인식 #인삼




※ 본 서평은 부흥카페 서평 이벤트 ( https://cafe.naver.com/booheong/224442  )에 응하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