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옳다는 착각 - 내 편 편향이 초래하는 파국의 심리학
크리스토퍼 J. 퍼거슨 지음, 김희봉 옮김 / 선순환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만 옳다는 착각 (크리스토퍼 J. 퍼거슨 著, 김희봉 譯, 선순환, 원제 : Catastrophe!: How Psychology Explains Why Good People Make Bad Situations Worse)”를 읽었습니다. 



인지 편향으로 인한 인간의 오류에 대해 다룬 교양 심리학 서적입니다. 인지 편향은 올바른 선택을 방해하여 잘못되거나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만들이죠. 특히 갖가지 재앙 혹은 긴급 상황에서 발생하는 인지 편향은 가끔 대파국으로 이끌기도 합니다. 



책에서 저자는 이의 대표적인 사례로 에어프랑스 447편 추락사고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2009년에 벌어진 이 사고는 우리나라에도 꽤 알려진 사고입니다. 과냉각으로 인해 속도계가 잠깐 이상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오토파일럿이 잠깐 해제되었던 상황에서 부기장의 과실로 인해 실속(失速)  상태에 빠진 비행기가 추락한 사고입니다. 이 책 초반부에는 당시 부기장이 어떤 실수를 했는지에 대해 상황이 자세히 나와 있으습니다. 비록 유능하고 잘 훈련된 사람이라 할지라도 위기 상황에서 불완전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 누구나 감정에 휩쓸려 혼란에 빠지게 되고 불필요하거나 불합리한 선택으로 인해 파국을 맞이할 수 있는 인지적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례는 인간이 가진 정상적인 인지 능력 자체가 비효율적이며 좋지 않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특히 이상을 일으켰던 속도계나, 잠깐 해제되었던 오토 파일럿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조종간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겨 고도를 높이려 했던 부기장의 행동은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잘못된 행동임이 분명하지만, 똑 같은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결국 파국에 이르게 되었는데 이를 저자는 인내 오류 (perseverative error)라 일컫습니다. 사실 비행기 조종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비슷한 오류를 수없이 저지르면서 살아가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이러한 오류 상황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되고, 판단력이 흐려지며, 충동성이 증가합니다. 이는 문명 이전 상황에서는 분명 도움이 되는 인지 기능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이 기능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많은 상황에서 효율적이지 않은 기능이 되어버린 것이지요. 우리는 이를 인지 편향 혹은 인지 오류라 일컫습니다. 



또한 사람들은 비록 ‘사실이 아니’라 하더라도 놀라운 주장에 귀를 기울이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래서 음모론이 성행하는 것이지요. 책에서는 ‘죠스’라는 영화의 흥행이 상어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논박합니다. 


이 주장은 ‘죠스’라는 영화를 통해 상어의 공격이 치명적이고 공포스럽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깨닫고 상어를 죽이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상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죠스’의 원작자인 피터 벤클리조차 자신이 이 소설을 쓴 것을 후회한다는 말까지 했다는 사례를 덧붙입니다. 



물론 상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영화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입니다. 상어의 개체 수는 ‘죠스’ 개봉 전부터 꾸준히 감소해왔으며 그 이후에도 그 경향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죠스’ 영화의 흥행은 그 추세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상어 개체 수 감소는 상어나 어족 자원의 남획에서 비롯한 생태계 파괴의 결과물일 뿐 상어 혐오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책의 일부 주장은 추가적인 보강 독서가 필요한 내용이긴 하지만 위기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지 편향으로 인한 불합리한, 그리고 비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어떻게 내려지는지 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독서였습니다. 



#나만옳다는착각 #크리스토퍼J퍼거슨 #김희봉 #선순환 #책좋사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