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달라도 괜찮아 - 자폐인 과학자가 말하는 완벽하게 나다워지는 법
카밀라 팡 지음, 장한라 옮김 / 동녘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달라도 괜찮아 (카밀라 팡 著, 장한라 譯, 동녘, 원제 : Perfectly Weird, Perfectly You: A Scientific Guide to Growing Up)”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카밀라 팡 (Camilla Pang)은 독특한 경력을 가진 생물정보( computational biology)학자입니다. 바로 스스로가 ADHD를 앓고 있으며 자폐스펙트럼 진단을 받았다는 점입니다. 세상과의 연결을 어려워하지만 과학을 그 수단으로 삼은 분입니다.

우리들에게는 전작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김보은 譯, 푸른숲, 원제 : Explaining Humans: What Science Can Teach Us about Life, Love and Relationships)”를 통해서도 알려져 있는 작가이기도 합니다.

전작이 일반 독자들 대상으로 본인의 삶에 과학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말하고 있다면 이 책, “남달라도 괜찮아”는 청소년들에게 삶에 대한 따뜻한 이야기와 조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가 과학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이상, 과학에 대한 이야기 역시 빠질 수 없습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본인의 경험에서 비롯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들려줍니다.


학교에서 모르는 여자 아이가 신은 파란색 운동화가 눈에 들어옵니다. 그 아이에게 다가간 18년 전의 카밀라는 그 아이에게 이렇게 이야기하죠.

‘신발 멋지다. 나도 갖고 싶어’


그 아이는 ‘날 따라하는 건 꿈도 꾸지마’라고 이야기합니다. 이유를 묻는 카밀라에게 그 아이는 이렇게 이야기하죠. ‘너 같은 사람들은 나하고는 안 어울리거든.’


가난함 혹은 피부색 등 어떤 것이든 그 아이는 카밀라를 차별할 것이지요. 카밀라가 보통의 아이라면 그 의미가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상대방 아이가 옳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카밀라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 아이의 표정, 말 등이 조화롭지 않고 불협화음으로 보이고 들렸기 때문입니다. 

이 지점에서 카밀라는 자신이 떠올린 몇가지 생각들을 책을 읽는 청소년들에게 조언합니다. 



이 책은 참 독특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의 삶,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그리고 과학적 사실들과 여기에서 연상되는 많은 생각들.


하지만 하나는 분명합니다. 우리는 똑같이 단 하나의 세포에서 비롯되었지만 누구나 다 다르다는 것을. 그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윤리적으로 옳지 못하는 점을 차치하더라도 외로워진다는 것을 말이지요. 






#남달라도괜찮아  #카밀라팡 #장한라 #동녘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