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죄책 - 일본 군국주의 전범들을 분석한 정신과 의사의 심층 보고서
노다 마사아키 지음, 서혜영 옮김 / 또다른우주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과 죄책 (노다 마사아키 著, 서혜영 譯, 또다른우주, 원제 : 戦争と罪責)”를 읽었습니다.



이 책에는 많은 사례들이 등장합니다. 그중 인상깊은 에피소드 하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난징(南京)이 함락된 지 2주 정도 지났을 때 일본군이 점령한 도시를 학생들에게 시찰시키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애국심을 함양하고, 학도병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전도구이었겠지요. 12명 정도의 일반 학생들은 난징을 시찰하는 기간 동안 숱한 시체들을 만나게 됩니다. 대학살의 흔적이었습니다. 이들을 인도하는 군인들은 그 시체들을 숨기려고 하지도 않고 오히려 자랑스레 학생들에게 보여줍니다. 그리고 강간과 살인을 권유합니다. 학생들은 처음에는 놀라기도 했지만 점차 이들에게 동화되어 갑니다. 아니, 흥분하기에 이릅니다. 



하루는 그들을 인솔하는 장교가 자유롭게 중국인을 죽이라는 제안을 합니다. 



유도를 배운 학생은 목을 조르고, 가라테를 배운 학생은 때려 죽이려 하지만 사람은 그리 쉽게 죽지 않습니다. 이에 장교는 시범을 보여준다면서 일본도로 목을 베어 죽여나갑니다. 


이제 학생들은 어떤 의문도, 어떤 죄책감도 없습니다. 이제 군대가, 군인이 하는 일은 모두 옳다고 믿는 지경에 이릅니다. 그리고 그들은 학도병 출전 선동에 열을 올리게 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도덕적 경계가 모호해지고 윤리적 딜레마가 뚜렷해지는 전쟁의 상황을 맥락화하면서 그 안의 개인을 강조합니다. 또한 전쟁의 혼란 속에서 책임의 문제는 그 어느 상황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다양한 역사적 전쟁과 분쟁을 분석함으로써 전쟁의 공포 앞에서 개인은 어떻게 자신의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증을 보여줍니다. 



저자는 명령 복종에 따름으로써 비도덕적인 행위를 간단하게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명령에 대한 복종과 개인의 도덕적 판단 사이에 내재된 혼란에 대해서도 고찰합니다. 과연 개인의 면책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명령에 따랐다고 해서 모든 전쟁범죄와 잔학행위를 면책해야 할까요? 




이 책은 역사, 법, 철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논쟁과 사례를 바탕으로 전시 상황에서 개인의 책임, 범죄에 가까운 잔항성 등의 영향에 대해 많은 질문과 함께 그 답을 찾기 위한 과정들을 보여줍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전쟁 상황에서 개인의 책임, 특히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통찰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전쟁과죄책 #노다마사아키 #서혜영 #또다른우주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