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거짓말쟁이들 - 살아남기 위해 속고 속이는 생물 이야기
모리 유민 지음, 이진원 옮김, 무라타 고이치 감수 / 키라북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속의 거짓말쟁이들 (모리 유민 著, 무라타 고이치 監, 이지원 譯, 키라북스, 원제 : ウソをつく生きものたち)”를 읽었습니다. 생태학 내지는 진화생물학과 관련한 대중과학서적으로 특히 동식물의 모방, 의태, 탁란 등 생존을 위한 생명의 ‘거짓’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희 집 아이들이 한 동안 흥미를 가진 곤충이 있습니다. 바로 난초사마귀입니다. 분명 사마귀인데 모양이나 색은 꼭 난초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사실 난초사마귀라는 것을 알고 봐서 겨우 구분하는 것이지, 그렇지 않으면 구분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의태(擬態)입니다. 특히 색깔 뿐만 아니라 모양이나 몸의 형태마저 난초를 닮아 더욱 그렇습니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먹이감을 잡기 위한 의태를 공격 의태라고 한다고 하네요. 


십자매(十姉妹)라는 새가 있습니다. 참새보다 작은 종인데 매우 온순하고 여러 마리를 한꺼번에 키워도 왠만해서는 다툼이 일어나지 않는 매우 사교적인 새입니다. 영어 이름이 society finch라고 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많은 분들이 반려조로 십자매를 기르고 있습니다. 저 역시 십자매를 반려조로 기르고 있는 중이라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이 있더군요.

 바로 십자매의 노래를 분석한 대목입니다. 새끼일 때 육추하는 부모의 노래소리를 흉내내기도 하지만 성장하면서 자신만의 패턴으로 조합하고 정렬해나가면서 연습을 거듭하고 자기 것으로 만들어낸다는 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단순히 유전대로 이어나가거나, 부모 세대를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패턴을 만들어낸다는 점이 말이지요.

그래서 십자매 수컷은 자신 만의 패턴을 가진 노래소리를 가지고 있게 됩니다. 암컷 십자매는 이러한 노래소리로 각각의 개체를 구분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보다 복잡하고 세밀하게 조합한 수컷일수록 암컷에게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래소리로 경쟁하는 습성이 세대에 걸쳐 쌓이게 되면서 십자매는 어느 다른 새보다 더욱 복잡한 노래소리를 가지게 진화했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 자신 만의 패턴을 가진 노래소리도 일종의 규칙이 존재한다고 하는 점은 더욱 놀랍습니다. 일종의 문법이라고 할까요? 자유롭게 노래를 만들 수도 있지만 규칙에 따라 제대로 조합해야만 진정한 세레나데가 된다고 합니다. 규칙을 어긋난 패턴은 아무리 복잡해도 암컷에게는 음치의 노래로 들린다고 하니, 이 또한 흥미로운 점입니다.

바로 부모 새의 노래를 처음 따라하고 반복하는 시기, 그 시기에 배운 패턴이 바로 문법의 기본이 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많은 것들은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 두 세 단계의 질문만 거듭해도 금방 밑천이 탄로나지요. 많은 동식물들이 생존을 위해 택한 진화 전략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보호색이나 의태 같은 단어들을 알고 있다고 하지만 사실 그 깊이는 얕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책에서는 의외로 잘 알지 못했던 많은 사실들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어 진화를 통해 의태, 모방, 탁란 등 많은 과학적 지식과 사실들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숲속의거짓말쟁이들 #모리유민 #무라타고이치 #이진원 #키라북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