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상실 - 좋은 일자리라는 거짓말 전환 시리즈 2
어밀리아 호건 지음, 박다솜 옮김 / 이콘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정부의 노동 정책에 대한 의견을 보고 있으면 시간을 거꾸로 되돌리려 한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사람들의 생각과 기술은 점점 발전하고 진보하는데, 과거의 성장 모델에만 갇혀서 사고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아니, 원래 노동이라는 것을 ‘사람’이 하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고 자본이나 토지처럼 물화된 경제적 요소로만 바라보는 시각이 문제일까요?



 “노동의 상실 (어밀리아 호건 著, 박다솜 譯, 이콘, 원제 : Lost in Work: Escaping Capitalism)”을 읽었습니다. 





노동과 자본주의와의 만나는 지점을 살펴보면서 노동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자본주의라는 지배적 경제 체제로 인해 노동과 우리와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우리가 노동의 요구에서 벗어나고 싶다하더라도 벗어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자본주의의 역사와 발전, 그리고 자본주의가 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들이 흥미롭습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상당히 도발적이면서도 역사적 근거를 가져가며 주장을 이어가는데 특히 자본주의가 항상 노동 착취를 수반해왔다는 주장이 흥미롭습니다. 자본주의의 시작을 알린 산업혁명은 생존을 위해 임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새로운 유형의 노동자를 탄생시켰고, 이는 사람들의 가치가 일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새로운 종류의 사회가 만들어졌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로 인해 노동이, 그리고 그 노동을 결정짓는 자본이 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힘이 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또한 자본주의의 진화 과정을 통해 사람들의 삶에서 노동의 중요성이 어떻게 점점 더 커져왔는지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노동은 많은 사람들에게 고유의 정체성의 한 형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노동이 더 큰 존경과 존엄을 누릴 가치가 있는 직업과 그렇지 않은 나머지로 분화하는 것은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저자는 지적합니다. 개인 고유의 정체성의 형태로 노동이 존재하게 된 이상 일자리에서 밀려난 이들에게 실직은 수입을 잃은 것 이상으로 사회적 존경을 얻을 주된 방법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며, 이는 심각한 소외를 야기시킴으로써 사회적, 개인적 문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죠. 저자는 노동을 통해 보람을 찾는 것 이상으로 직장 밖에서도 보람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노동의 젠더화된 성격과 자본주의가 어떻게 성별 분업을 만들어냈는지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여성이 노동력에서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여성의 노동은 그동안 평가절하되었다는 이야기를 통해 노동과 자본주의의 관계에 있어 노동의 중심을 인간의 행복에 두고 노동과의 관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노동의상실 #어밀리아호건 #박다솜 #이콘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