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샤의 후예 2 : 정의와 복수의 아이들
토미 아데예미 지음, 박아람 옮김 / 다섯수레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리샤의 후예 (Legacy of Orïsha)’ 시리즈인 “피와 뼈의 아이들 (토미 아데예미 著, 박아람 譯, 다섯수레, 원제 : Children of Blood and Bone )”과 “정의와 복수의 아이들 (박아람 譯, 다섯수레, 원제 : Children of Virtue and Vengeance )”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토미 아데예미(Tomi Adeyemi)는 나이지리아계 미국 작가로 이번에 읽은 작품인 ‘오리샤의 후예’는 저자의 정체성이 진하게 드러난 아프리카계 SF/판타지 계열의 소설입니다. 

아프리카계 SF/판타지 작품을 처음 만난 게 옥타비아 버틀러의 “야생종 (이수영 譯, 오멜라스, 원제 : Wild Seed)”이었습니다. (지금은 절판되었고 조호근 번역가가 번역한 비채출판사에서 나온 “와일드 시드”라는 작품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계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작품의 분위기와 질이 달라지는 것을 느꼈죠. 이후 불세출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N.K. 제미신의 ‘부서진 대지 3부작 (The Broken Earth Trilogy)’를 통해 이 계열 작품의 저력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작품 역시 옥타비아 버틀러 (Octavia E. Butler)나 N.K. 제미신 (N. K. Jemisin)과 맥을 같이하는 작품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이 작품은 마법을 다룬 판타지 계열의 작품이지만 현실에 대한 날 선 비판이 작품 곳곳에서 드러납니다. 단지 신체적 특징이 다르다는 이유로 온갖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모습은 피부색에서 비롯한 현실의 차별을 여과없이 보여줍니다. 서아프리카 신화라는 단단한 기초 위에  촘촘히 설계된 세계의 설정은 다소 이국적이어서인지 처음에는 약간의 진입장벽이 느껴지지만 작품 속에 녹아들면서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줌과 동시에 몰입하게 만들어줍니다.





우리는 지금껏 백인, 유럽 중심의 판타지를 읽어왔습니다. 하지만 마법과 주술에 대한 상상은 백인들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오랜 신화를 간직한 모든 문명권에서는 자신만의 주술과 마법에 대한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요. 



그들은 어머니를 죽이고, 우리의 마법을 가져가고, 이제는 우리를 오랫동안 엎드려 있게 만들었다.

이제는 우리가 일어나야 한다.

‘아보그보 와 니 오모 레 니누 에제 아티 예군군’



3부작의 시작을 연 “피와 뼈의 아이들”은 YA 분야의 최고 소설에 수상하는 ‘Lodestar Award’와 ‘Andre Norton Award’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또한 ‘오리샤의 후예’는 원작자인 토미 아데예미를 총괄 프로듀서로 해서 ‘파라마운트’사에서 영상화한다는 뉴스가 검색되네요. 이 흥미로운 작품을 영상으로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영화 혹은 드라마화된 작품도 기대가 됩니다. 





#오리샤의후예 #피와뼈의아이들 #정의와복수의아이들 #토미아데예미 #박아람 #다섯수레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