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톰 피터스 탁월한 기업의 조건 - 세계적 경영 구루가 전하는 사람 중심 경영
톰 피터스 지음, 김미정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8월
평점 :
“탁월한 기업의 조건 (톰 피터스 著, 김미정 譯, 한국경제신문, 원제 : Excellence Now: Extreme Humanism)”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톰 피터스(Tom Peters)는 “초우량기업의 조건”이라는 명저를 집필하기도 하였으며 경영 혁신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경영학자로 유명합니다. 특히 저자는 경영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두어 연구한 키워드가 바로 ‘엑설런스 (Excellence )’라고 합니다.
이 책, “탁월한 기업의 조건”은 기업의 엑설런스를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다룬 책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 운영에 있어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거나 직관적으로 이해가능한 재무실적, 사업계획, 조직 등에 중점을 두는 것은 이해 됩니다. 하지만 톰 피터스는 이러한 숫자 중심의 성과주의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지금 시대에 이를 통해 엑설런스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이야기합니다.
특히 저자는 기업은 결국 조직이라 강조합니다. 조직은 조직도와 직무기술서, 절차로 만들어지지 않고 그 안에서 살아 숨쉬는 사람들로 만들어진다는 의미입니다. 결국 조직의 핵심 정의는 ‘커뮤니티’라는 것입니다. 저자는 많은 기업들이 엑설런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조직의 핵심 정의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라 진단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직이라는 커뮤니티를 엑설런스에 도달하기 위한 여러 원칙을 수립하고 이에 도달하기 위한 실재적 강령을 이야기합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최우선 원칙은 바로 ‘하드한 요소는 약하고 소프트한 요소는 강하다’입니다. 계획은 종종 환상에 그치고, 조직도는 조직이 작동하는 방식과 무관하며 수치는 조작되기 쉽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사람, 관계, 문화에 있어 긍정적인 부분은 건전하고 공동체 의식을 고양합니다. 이런 긍정적 소프트한 요소들은 고객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논리입니다.

흔히들 미국을 초강대국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군사력이나 경제력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미국은 초강대국의 반열에 들어가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강력한 분야가 또 있습니다. 바로 기술력, 문화, 외교와 같은 분야들입니다. 군사력이나 경제력 같은 것들을 하드 파워(Hard Power)라고 한다면 민주주의적 가치관이나 사회 윤리 등의 정신적 가치, 문화와 외교 정책을 소프트 파워 (Soft Power)라 할 수 있습니다. 국제 질서가 이러한 소프트 파워에 의해 재편될 것이라 조지프 나이 (Joseph S. Nye Jr., 1937~)를 비롯한 많은 국제정치학자들이 주장한 바 있으며 최근 국제 관계는 다극화 양상과 더불어 늘어난 상호의존성으로 인해 소프트 파워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책, “탁월한 기업의 조건”에서 저자가 강조하는 맥락은 국제 질서 속에서의 소프트파워와 유사합니다.
#탁월한기업의조건, #톰피터스, #김미정, #한국경제신문,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