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 생명의(아주) 짧은 역사
헨리 지 지음, 홍주연 옮김 / 까치 / 2022년 7월
평점 :
“지구 생명의 (아주) 짧은 역사 (헨리 지 著, 홍주연 譯, 까치, 원제 : A (Very) Short History of Life on Earth: 4.6 Billion Years in 12 Pithy Chapters )”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헨리 지 (Henry Gee). 무려 네이처의 시니어 에디터입니다. 여러 대중 과학 서적을 집필하기도 한 것 같은데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책은 저자가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책을 제외하고 이번에 출간한 “지구 생명의 (아주) 짧은 역사”가 처음이군요.
아직까지 밝혀진 바로는 광활한 우주에 생명이 있는 공간은 지구가 유일합니다. 그러면 이 지구에 생명이 나타난 것은 언제 쯤일까요?
지구가 지금으로부터 약 46억년 전에 형성되었는데 이 지구에서 생명은 상당히 놀랄 만큼 일찍 나타났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38억 년 전에 생명이 처음 탄생되었다고 보고 있는데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가 형성된 지 1억 년 만에 나타났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최신 이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때는 달에 큰 충돌구를 만들 정도로 거대한 천체들이 이 지구에도 쏟아질 정도로 격변의 시기였는데, 지구 깊숙한 곳에서 생명은 처음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37억년 전에는 심해에서 표층수까지 생명들이 퍼져나갑니다. 그리고 34억년 전에는 거대한 초(礁)를 형성할 정도로 생명은 지구에 완전히 자리를 잡습니다. 거대 군집을 의미하는 이 초(礁)는 산호가 아닌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이후 30억 년 동안이나 번성한 지구의 지배자였습니다.
시아노박테리아가 지구 생명의 역사에 중요한 주역 중 하나인 이유는 오랜 기간 동안 지구의 지배자였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오존층이 없는 당시 지구 대기의 특성 상 쏟아지는 자외선을 막기 위해 그것을 흡수하는 방어 수단을 개발했고, 그 방어 수단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얻었는데 이때 발생한 부산물이 바로 산소(O2)입니다. 즉, 시아노박테리아는 산소를 처음 만들어낸 생명입니다. 하지만 당시 산소를 활용하여 호흡하는 생명체는 없었고,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가장 위험한 물질이었을 뿐입니다. 지구 역사상 최초의 대멸종이 일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생명은 어떻게든 환경에 적응합니다. 이 산소를 활용하여 살아가는 생명이 탄생(호기성 생명체)하고 유핵세포를 발달시키며, 지금으로부터 약 20억 년 전 하나의 막 안에서 군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생명들도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다세포생물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가정 오래된 다세포 생물은 무려 21억 년 전의 것입니다.
이렇게 지구가 생겨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발생한 탄소 유기물에서 40억 년의 시간 동안 진화하며 발달한 생명은 번성과 대멸종을 반복하며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이제 단 하나의 생명종에 의한 대멸종이 코 앞에 다가와있습니다. 바로 인류에 의한 홀로세 대멸종입니다. 인류는 멸종한 이후 지구에 무엇을 남기게 될까요? 저자는 만약 인류가 멸종한다면 그 기나긴 지구 생명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무것도 남기게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이룩한 그 모든 것은 단 몇 밀리미터의 지층으로만 남게될 것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탄소위기를 극복하고 문명을 보다 이어가야 하는 당위는 여기에서 나옵니다. 우리는 (아직까지) 우주에서 유일한 지적 생명체이고 지금보다 더 오래 문명을 영위하여 우주의 신비를 조금 더 밝혀내야 할 테니까요. 생명은 강하고 언제나 방법을 찾아냅니다.
#지구생명의아주짧은역사, #헨리지, #홍주연, #까치. #아주생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