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의 역설 (보급판) - 폭력으로 평화를 일군 1만 년의 역사
이언 모리스 지음, 김필규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2년 2월
평점 :
“전쟁의 역설 (이언 모리스 著, 김필규 譯, 지식의날개, 원제 : War! What Is It Good For?: Conflict and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from Primates to Robots)”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이언 모리스 (Ian Morris)는 영국의 역사학자로 우리나라에는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최파일 譯, 글항아리, 원제 : Why the West Rules—for Now: The Patterns of History, and What They Reveal About the Future)”를 통해 만나 본 적 있는 저자입니다. 이 책, “전쟁의 역설” 역시 2015년에 번역된 바 있는데 이번에 보급판의 형태로 다시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의 부제가 ‘폭력으로 평화를 일군 1만 년의 역사’에서 주제의식이 드러나듯 이 책, “전쟁의역설”은 고대 로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전쟁의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전쟁이라는 최악의 폭력이 어떻게 평화로운 시대를 만들어냈는지에 대한 ‘역설(paradox)’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전쟁은 ‘더 큰 사회를 만들었고, 그 사회는 더 강력한 정부에 의해 통제’되므로 결국 평화와 번영의 기반을 전쟁이 만들었다. 전쟁은 더 많은 폭력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게 되었다.
전쟁은 평화를 만들어냈고, 전쟁으로 인한 파괴는 보다 많은 부를 만들었다.
그리고 전쟁은 마침내 스스로를 중단시켰다.
이 책의 핵심 주장입니다. 책에서 저자는 전쟁이 보다 평화로운 시대를 만들어냈으며, 전쟁이 전쟁 없는 시대로 이끌고 있다고 진심으로 믿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자가 제시한 방대한 논거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그러한 저자의 믿음에는 의문이 듭니다.
전쟁은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분명 지금의 인류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들을 만들어내게 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은 전쟁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좀더 빨리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이지 굳이 전쟁의 선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 합니다. 또한 전쟁으로 인해 전쟁이 없어질 수 있다고 하는 논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무기가 고도화되고, 미국을 제외한 각국 간의 전력의 차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전면전의 형태가 줄어들었을 뿐, 그리고 서구권이 인식하는 형태로서의 전쟁이 줄어들었을 뿐 전쟁은 여전히 파편화되어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클라우제비츠(1780~1831)는 전쟁을 ‘자신의 의지를 실현하고자 적에게 굴복을 강요하는 폭력 행동’으로 규정하며 ‘정치적 연장선’이라고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형이상학적 정의는 끄덕거리게 할 수는 있지만 그 이면에 수많은 죽음과 피해를 다 담아내지는 못합니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장에서 멀리 떨어진) 우리는 뉴스로 전쟁을 소비하지만, 전장 한 복판에 있는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수많은 폭력과 죽음에 노출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을 전쟁에 대한 역사서로 접한다면 매우 훌륭한 책이라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의역할에 대한 저자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이기에는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전쟁의역설, #이언모리스, #김필규, #지식의날개,
ㅁ 본 서평은 부흥 카페 서평 이벤트 ( https://cafe.naver.com/booheong/213543 )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