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 구글 검색부터 유튜브 추천, 파파고 번역과 내비게이션까지 일상을 움직이는 인공지능 이해하기
박상길 지음, 정진호 그림 / 반니 / 202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2016년. 이창호 9단은 딥마인드社의 인공지능, 알파고에게 바둑으로 패배합니다. 체스라는 영역에서는 딥블루에게 가리 카스파로프가 패배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바둑은 우주의 원소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는 수(手)를 가지고 있어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기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라는 세평을 무색하게 만든 한 판이었습니다. 

이른 바, 알파고 쇼크.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전상을 일반 대중이 인식하게 한 인류사적 순간이었습니다.


6년에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 주변에서도 AI를 자주 만나게 됩니다. 전문용어에 해당했던 딥러닝, 머신러닝이라는 단어도 이제는 익숙해졌습니다. 하지만 일반 대중은 여전히 인공지능이 어떻게 지능을 가지게 되는지,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해 잘 모릅니다.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박상길 著, 정진호 畵, 반니)”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일반 대중이 인공지능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양서적입니다. 인공 지능의 역사로 시작해서 자율주행, 검색엔진, 스마트스피커, 기계번역, 챗봇, 내비게이션, 추천알고리즘 등 우리가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AI를 활용한 여러 도구들에 대해 원리를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운전할 때 자주 이용하는 앱이 바로 T맵입니다. 특히 도착 예정 시간을 기가 막히게 잘 맞추는 것을 보고 있으면 언제나 이용하면서도 신기한 앱이기도 하지요. 최단거리를 탐색하는데 AI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최단 거리 탐색에 있어 사용하는 여러 알고리즘을 설명하는데 그중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Dijkstra Algorithm)과 A*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가 대학원생일 때 고안했다고 알려진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은 현재 위치에서 주변을 모두 살핀 다음 그 중 최단 경로를 채택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즉 출발점에서 최단거리를 선택하고, 다음 분기점에서 최단거리를 선택하는 방식이지요. 이 알고리즘의 최대 단점은 많은 경로를 모두 탐색해야 해서 시간이 너무 걸린다는 것입니다. 

이를 개선한 방식이 바로 A* 알고리즘입니다.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을 보완한 방식으로 도착지에서 출발지로 거꾸로 이동하는 시간을 포함하여 계산함으로써 가능성이 높은 경로 위주로만 탐색하기 때문에 탐색 시간을 대폭 줄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빠르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내비게이션에 매우 유용한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저자인 박상길님은 챗봇, 검색엔진 등을 개발한 개발자 출신이며 현재는 현대자동차에서 인공지능 연구조직을 이끌고 있는 분이라고 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다룬 경험이 있어 AI가 책에서만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개발되는지에 대해 현장감 넘치게 들려주는 이런 책을 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AI에 대한 입문서적으로도 손색없는 책으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비전공자도이해할 수 있는AI지식, #박상길, #정진호, #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