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애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3월
평점 :
“도파민네이션 (애나 램키 著, 김두완 譯, 흐름출판, 원제 : Dopamine Nation: Finding Balance in the Age of Indulgence)”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애나 렘키(Anna Lembke)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중독의학 교수이자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 소장으로 재직 중인 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저자는 각종 중독 문제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중독 현상과 관련한 정신 질환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남겼고 미국 정부 및 의회에 중독 정책의 자문을 맡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과학적 지식이나 도파민이 쾌락 중추를 어떻게 자극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나 정보를 알려줄 뿐 아니라 저자의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도파민 분비를 자극하는 것들이 넘쳐나는 쾌락 과잉 시대의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중독 현상에서 벗어나 균형을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충고하는 책입니다.

책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제이콥이라는 환자의 사례부터 충격적입니다. 성 중독에 빠진 그는 자신의 전문 기술을 활용해 자위 기계까지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주변인들에게는 자신의 중독을 알리지 못하는 이중 생활을 계속합니다. 쾌락을 경험하지만 그에 비례한 죄책감과 고통이 뒤따라오는 삶을 수십 년 간 이어오다 저자에게 상담을 요청한 것입니다.
저자는 쾌락과 고통이 한 묶음이라 이야기합니다. 뇌가 가진 보상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파민은 노출 빈도가 높아질수록 경험의 중독성이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뇌는 그 쾌락을 담당하는 곳과 같은 곳에서 고통도 함께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쾌락과 고통은 저울의 양 끝에 달린 추와 같이 작용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영원히 지속될 것으로 염원하는 쾌락의 순간은 뇌의 균형이 점차 고통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더 큰 쾌락을 찾게 된다는 것이죠.

얼마 전 유사한 주제를 다룬 “중독에 빠진 뇌과학자 (주디스 그리셀 著, 이한나 譯, 심심, 원제 : Never Enough: The Neuroscience and Experience of Addiction)”를 읽으면서 현대의 중독 현상, 특히 약물 중독의 심각함에 대한 이해를 높였는데, 이 책은 그 범위를 보다 확장시켜 약물 뿐 아니라 넷플릭스, 소셜 미디어, IT 기기 등 중독 현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와줍니다.
특히 저자가 자신을 찾아온 한 환자의 IT 기기 의존 현상에 대한 충고가 인상깊었습니다. 깨어 있는 동안 내내 IT 기기를 통해 인스타그램, 유튜브, 팟캐스트 등 기기 의존적 삶을 살아가는 환자는 우울감,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걷는 동안만이라도 아무것도 듣지 말고 생각이 자연스레 떠오르게 하는 시간을 가지라는 충고를 합니다. 그게 자신과 친해지는 방법이라고. 지루하지만 지루함은 발견과 발명의 기회이기도 하다는 말과 함께.

#도파민네이션, #애나렘키, #김두완, #흐름출판, #컬처블룸, #쾌락과잉시대에서균형찾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