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우주 - 우리가 잃어버린 세상의 모든 창조 신화 22
앤서니 애브니 지음, 이초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는 단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유니’버스(universe)라 불리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최근 이론에 따르면 이는 사실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우주는 우리 우주 외에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다중우주론(The Theory of Multiverse)이지요. 이러한 다중우주론을 설명하는 이론은 매우 다양합니다. 어찌되었건 우주가 하나라 아니라 무한히 많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그렇기에 항상 이야기나 소재에 굶주린 대중 매체에서 이 이론을 얼른 가져다 쓰고 있는 것이겠지요.



사실 우주가 여러 개라는 것은 물리학이나 수학이론에서 설명하기 전에 관습적으로 우리는 사용하곤 했습니다. 사람의 수 만큼 우주는 존재하고, 한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그 우주가 사라진다는 것이라는 격언이 바로 그것입니다. 바로 사람이 살아가면서 만들어내는 이야기가 마치 우주와도 같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과학이라는 영역이 아니라 신화, 인간의 상상력이 만든 세상에서의 우주와 태초는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이야기를 가지고 있을까요? 그 이야기들을 모아놓은 책이 있습니다. “천 개의 우주 (앤서니 애브니 著, 이초희 譯, 추수밭, 원제 : Creation Stories: Landscapes and the Human Imagination)”이 바로 그 책입니다. 이 책은 인류가 만들어내고 향유했지만 지금은 잊혀져 가는 창세 신화 중 22가지를 모아놓은 책입니다. 



저자는 앤서니 애브니 (Anthony Aveni)로 미국에서 천문학과 인류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분입니다. 어디서 들어본 이름이다 싶으신 분도 계실텐데 “시간의 문화사 (최광열 譯, 북로드, 원제 : Empires of Time: Calendars, Clocks, and Cultures)”나 “별 이야기 (이영아 譯, 현암사, 원제 : Star stories : constellations and people)”을 읽어보신 분들일 것입니다.



이 책은 저자가 인류학자로서 가지고 있는 역량을 통해 인류의 다양한 문화권에서 향유하던 창조 서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순하게 이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각 창조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를 바탕으로 산, 물, 동굴, 섬, 끝 등 다섯가지 범주로 묶고 그 범주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모아나’는 폴리네시아 신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디즈니 애니메이션입니다. 이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중 모아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마우이’가 있습니다. 마우이는 실제 폴리네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민족 영웅 중 하나입니다. ‘모아나’에서 마우이가 인간들을 위해 행한 업적 중 하나가 바로 섬들을 바다 위로 낚은 것입니다. 이 책, “천 개의 우주”에는 그 이야기가 좀 더 자세히 실려 있습니다. 마우이가 물고기를 거의 잡지 못하는 것을 그의 형들이 놀리자 속임수를 써서 땅 밑의 산들을 낚아 들어올린 이야기입니다. 그 섬들이 바로 지금의 하와이 제도(諸島)입니다. 그리고 하와이 제도에서 두번째로 큰 섬의 이름에 이 마우이의 이름이 붙어있지요.






신화는 인류가 말을 하게 된 이래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이야기로 전하는 것일지 모릅니다. 그 시대를 살았던 인류는 대자연과 생명과 같이 당시의 이해로는 설명할 수 없는 어떤 것을 바라보고, 설명하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이감을 나타내고 싶었을 것입니다. 또한 자신이 살아있고, 경험하고, 욕구하는 모든 것을 하나의 사실로 이야기에 담아내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지금 만나보고 있는 고대인들의 신화에는 그런 이야기가 담겨져 있습니다. 









#천개의우주, #앤서니애브니, #이초희, #추수밭, #책좋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