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발견하는 뇌과학 - 뇌과학이 말하는 자아감 성장의 비밀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지음, 이경아 옮김 / 문학수첩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나를 발견하는 뇌과학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著, 이경아 譯, 문학수첩, 원제 : Inventing Ourselves: The Secret Life of the Teenage Brain)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Sarah-Jayne Blakemore)는 영국출신 심리학자이자 인지신경과학자로 현재 케임브리지대학교에 재직 중인 분입니다. 특히 신경과학 분야에 있어 연구 업적 및 공로를 인정받아 관련한 다수의 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저자는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사회 인지 및 의사결정 발달 구조를 밝힌 바 있으며 이를 주제로 한 TED 강의를 통해 큰 인기를 끌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 “나를 발견하는 뇌과학”은 저자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쓰여진 대중 과학책으로 청소년기, 특히 우리가 사춘기라 부르는 시기의 인간의 뇌가 어떤 변화를 겪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행동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 책입니다. 최근까지 인간의 뇌는 어린 시절, 특히 영유아기 시절에 완전히 발달한다고 믿어왔습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제 전 연령대의 살아있는 뇌를 관찰할 수 있는 이미징 기술, 특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덕분에 새로운 과학적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회백질의 감소는 매우 중대한 신경발달 과정이 진행됨을 짐작하게 하는데, 시냅스와 수상돌기의 개수가 변화하고, 사용하지 않는 시냅스는 가지치기라는 과정을 통해 제거된다고 합니다.



사춘기, 중 2병이라고도 칭해지는 이 시기는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시기로 아동기에서 벗어나 성인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입니다. 특히 인격과 성격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사춘기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부모와의 사이가 급격히 나빠지기도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사실 신경과학 분야에서 뇌 발달은 영유아기에 대부분 이루어진다고 믿어졌기 때문에 단순히 호르몬에 의한 작용으로 인해 이 시기에 대한 큰 오해를 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라-제인 블레이크를 비롯한 일군의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 두뇌의 중요한 영역은 사춘기를 비롯해 청소년기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하며, 이 기간이 두뇌 발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결정적인 시기라는 것을 밝혀 냈습니다. 그만큼 이 시기는 한 명의 ‘사람’이 아동기에서 오롯한 한 명의 성인으로 제대로 성장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커다란 변화의 시기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대중은 연구 성과를 쉬운 언어로 이해하기를 바랍니다. 또한 최근 자주 출간되고 있는 신경 과학,뇌과학 서적들은 마치 진리인양, 사람의 행동과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것처럼 광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저자 역시 그러한 우려를 충분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의 연구는 제한적이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더구나 신경 과학은 최근에야 비로소 fMRI 등을 통해 관찰 연구를 시작하였기에 연구와 통계적 유의성은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를 받아들임에 있어 새로운 해석과 함께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시선을 갖는데 필요한 수준 정도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나를발견하는뇌과학, #청소년, #사춘기, #신경과학, #뇌과학일반, #사라제인블레이크모어, #이경아, #문학수첩,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