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Season 12 - 메타버스, NFT, 오미크론… 과학이슈 11 12
오혜진 외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시즌 12 (신방실 外 共著, 동아엠앤비)”를 읽었습니다.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은 지금 우리가 발 딛고 살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가장 뜨겁고 첨예한 과학이슈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책입니다. 

이번 시즌 12에는 최근 많이 회자되고 있는 메타버스, NFT를 비롯해 대선에서도 이슈가 된 탄소중립 및 IPCC 6차 보고서, 중국, 인도, UAE까지 뛰어든 화성 탐사 경쟁, 단백질 접힘구조 예측에 있어 획기적인 신기원을 열 것으로 기대되는 알파폴드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이 무엇일까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을 의미합니다. 얼마전 ‘매일 : 첫 5000일’이라는 그림이 약 7천만달러에 팔린 적이 있습니다.  이 그림은 실물 그림이 아닌 NFT로 팔린 작품입니다. 이후 NFT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폭발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NFT라는 것은 일종의 태그나 꼬리표에 불과한 것인데 NFT만으로 이렇게 가격이 폭등하는 현상을 호의적으로 바라보기만 해도 좋은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시즌 12”에서는 다양한 NFT 거래 사례와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 NFT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기술이라는 측면을 보여주면서도 이에 대한 우려 역시 보여 주고 있습니다. 특히 ‘21세기 튤립 버블’이라는 주장을 소개하면서 가격 거품일 수도 있으며 향후 투자자의 큰 손실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NFT 거래에 있어 다단계나 폰지 사기와 비슷한 상황이 나타날 수도 있어 늦게 참여한 사람들의 막대한 손실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 우려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은 NFT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나 정부에서 인증하는 대상이 전혀 아니라는 것입니다. 특정 기업이나 경매소 등 민간에서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이렇게 천문학적 금액으로 거래되는 것은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시키는 거래 행태라고 꼬집고 있습니다. 다만 



20세기 이후 과학과 기술에 있어 인류는 엄청난 진전을 거두었습니다. 우주의 비밀을 밝혀내기도 하고 입자에 대한 많은 지식도 알게 되었지요. 과학은 믿음의 학문이 아니라 의심과 회의를 통해 신뢰를 쌓아가는 학문이기 때문에 이론과 가설을 통해 조금씩 진리에 다가가는 학문입니다.이러한 과학은 전문가의 영역 만은 아닙니다. 과학 분야는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는 빅사이언스가 되어버린 지 오래입니다. 결국 과학을 연구하는데 있어 반드시 예산이 필요한데, 이 예산을 집행하는데 있어 과학자 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의 참여도 필요합니다. 시민 통제 (Civilian Control)가 과학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시민 통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반 대중, 일반 시민들의 과학적 지식 뿐 아니라 과학적 사고방식 역시 필요합니다. 우리가 과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과학 지식을 뽐내기 위함도 아니고, 과학을 연구하기 위함도 아닌, 바로 시민이 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직관을 훌쩍 넘어버린 이러한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 너무나 어렵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매번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과학과 기술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찾아보기도 힘든 시대, “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과 같은 간행물을 통해 과학기술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도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 중 하나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미래를읽다, #과학이슈11, #시즌12, #동아엠앤비, #문화충전, #문화충전200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