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 선택과 모험이 가득한 인류 진화의 비밀 속으로
이상희 지음 / 우리학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이상희 著, 우리학교)”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이상희 교수는 “인류의 기원 (이상희, 윤신영 共著, 사이언스북스)”을 통해 만나 본 적 있는 분입니다. 고고미술사학을 대학 학위를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인류학으로 석박사 유학을 떠난 독특한 경력을 가진 분이기도 한데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특히 이상희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인류학 박사 학위 취득자이기도 합니다.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팟캐스트 등을 통해 대중과의 소통을 통해 인류학의 대중화에도 힘쓰고 있는 분으로 고인류학에서 알 수 있는 인류의 진화를 통해 ‘인간다움’을 탐구하고 있는 분입니다. 

아동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류학을 알리는데도 최선을 다하고 계시는 데 특히 ‘이상희 선생님이 들려주는 인류 이야기’나 이번에 일은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같은 저작이 그런 활동의 결과물일 것입니다.


이 책,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는 우리 안에 담긴 고인류의 모습을 하나 하나 들여다 봅니다. 

우리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진화’라는 놀라운 개념이 없었다면 장대한 시간축에서 어느 순간 툭 튀어나온 존재로 밖에 느껴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그 긴 시간 동안 인류는 ‘창조론’을 믿어왔겠지요. 하지만 우리는 약 38억년 전에 원시 지구에 나타난 작은 단백질 덩어리로부터 진화를 거듭하여 지금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지금 우리의 세포 안에, DNA 안에 그 작은 단백질 덩어리의 흔적을 찾으려면 찾을 수 있겠지만 저자가 인류학에서 찾고자 하는 ‘인간다움’을 찾으려면 좀더 시간축을 뒤로 돌려야 할 것 같습니다.



진화 계통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특징 중 저자가 주목하는 첫 번째 ‘인간다움’은 바로 두 발 걷기입니다.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화석을 보면 나무타기에 적응된 몸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두 발 걷기를 할 수 있는 고인류였습니다. 500만년 전에 나타난 인간의 조상은 다른 유인원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그 유일한 차이는 바로 두 발 걷기가 가능한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두 발 걷기도 한 번에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아주 조금씩 조금씩 완성되어 갔던 것이지요.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인간은 특별하다고. 또 이야기합니다. 그 특별함은 한 번에 완성형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간의 특별함은 길게는 38억 년, 짧게는 500만년에 걸친 시간 동안 조금씩 진화의 결과물이 축적되어 나타난 것이라는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들려줍니다. 

 

이 책을 아이들과 함께 읽고 이런 질문을 하더군요. 

‘우리 인간이 조금씩 나아져 온 존재라면, 우리도 살아가면서 점차 나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아마도 이상희 교수님이 이야기하려던 주제가 바로 저 질문에 담겨져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아이들이 기특해졌습니다. 맞습니다. 인간은 어제의 나보다 오늘 그리고 내일의 내가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하다는 것을…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아님을 이제 깨닫고 있고 보다 나은 존재가 되기 위해 지금도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하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알아가는 과정이 되었습니다.



#우리는어떻게우리가되었을까, #이상희, #우리학교, #리뷰어스클럽, #인류진화, #인류학, #생명과학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