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레기의 정치학
케이트 오닐 지음, 명선혜 옮김, 정철 감수 / 북스힐 / 2021년 10월
평점 :
“쓰레기의 정치학 (케이트 오닐 著, 명선혜 譯, 정철 監, 북스힐, 원제 : Waste)”를 읽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매년 많은 쓰레기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사실 쓰레기를 돈을 들여 수입한다는 이야기는 당황스러운데요. 하지만 시멘트 제조에 석탄재, 폐타이어 등이 재료로 사용되고 원사 등에 폐PET가 사용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나면 폐기물의 재사용 혹은 재활용의 목적으로 인해 쓰레기의 대량 수입이라는 사실 자체는 이해가 됩니다. 또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국가들이 쓰레기를 수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몇 년 전 쓰레기대란을 불러일으켰던 원인이 바로 중국의 쓰레기 수입 금지 조치 때문인데 중국 역시 전 세계적인 쓰레기 수입 대국입니다. 중국이 쓰레기 24종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자 연쇄 작용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쓰레기 대란을 일으켰던 것이죠.
이 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쓰레기는 버려지고 끝이 아니라 쓰레기 자체에도 가치가 남아 있기 때문에 재사용, 재활용, 재처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가치 사슬로 인해 정치, 경제, 외교적인 문제가 일어날 수 있고 실제로 크고 작은 국제적인 분쟁이나 다툼도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앞서 언급한 중국발 쓰레기 대란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었으며 전세계적으로 일어난 현상이었습니다. 저자는 이런 사례를 통해 폐기물 경제가 얼마나 취약한 분야인지 드러난 계기라 이야기합니다.
이 책, “쓰레기의 정치학”에서는 세계 폐기물 경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부국들이 독성 폐기물에 따르는 위험을 싼값에 저개발 국가에 떠넘기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폐기물 경제의 개황을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습니다. 폐기물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폐기물에 대한 정의와 전반적인 설명을 하나의 챕터를 온전히 활용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수거부터 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어 활용되는지, 그리고 그 과정이 세계적으로 어떻게 연결되고 전체 경제를 구성하는지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책에서 저자는 폐기물 산업의 구체적인 현황, 사례, 연구 등도 놓치지 않습니다. 페기물 경제에 있어 가장 규모가 큰 분야라고 한다면 폐전자제품, 폐플라스틱, 음식물쓰레기 등을 들 수가 있는데 책에서는 각각의 산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가 점차 심각해지면서 최근 들어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역시 늘어나고 있는데 환경 문제 중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폐기물 경제의 전 세계적인 가치 사슬 체계 및 특징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독서가 되었습니다.
#쓰레기의정치학, #케이트오닐, #명선혜, #정철, #북스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