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권력 - 인터넷을 소유하는 자 누구이며 인터넷은 우리를 어떻게 소유하는가
제임스 볼 지음, 이가영 옮김 / 다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권력 (제임스 볼 著, 이가영 譯, 다른, 원제 : The System: Who Owns the Internet, and How It Owns Us) “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제임스 볼 (James Ball)은 영국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특히 가디언지의 심층 취재팀의 책임 기자로 일하면서 ‘스노든 사건’, ‘관타나모 파일’, ‘조세 피난처 사건’ 등을 취재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퓰리쳐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그의 저서 중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김선영 譯, 다산초당, 원제 : Post-Truth: How Bullshit Conquered the World)”가 번역 소개된 이후 이번에 읽은 “21세기 권력”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두 번 째 저서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듯 인터넷은 실체가 없지 않습니다. 정보가 오가는 광케이블은 누군가의 소유이고, 정보가 머무르는 데이터센터 역시 누군가의 소유입니다. 심지어 그 정보조차 누군가의 소유입니다. 그리고 권력은, 시스템은, 돈은 개개인의 정보조차 소유하고자 합니다. 이 책은 불과 몇 년 전 혁신가로 추앙받던 인터넷 기업들이 이제는 스스로가 시스템이 되어 인터넷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으며, 돈은 스스로의 탐욕을 추구하기 이해 개인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하는 현실을 보여주고, 기술, 권력, 탐욕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들려줍니다.  



저자는 온라인 권력은 곧 오프라인 권력이라 주장합니다. 인터넷은 처음의 기대와 다르게 여전히 과거의 권력을 유지하게 하고 있으며 심지어 더 강화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시스템은 여전히 강고하며 몇몇 사람의 의사결정에 의해 움직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그러한 시스템에 저항합니다. 저항은 미약합니다. 하지만 시스템에 대항하고자 하는 작은 움직임들은 조금씩 승리의 아카이빙을 쌓아왔습니다. 위키리크스가 그랬고 파나마 ICIJ가 그랬습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저항의 기록 역시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처음 인터넷이 태어나서 우리에게 다가왔을 때 많은 사람들은 ‘혁명’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이라는 수단을 사용하여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과도 거의 실시간을 대화할 수 있는 도구를 역사상 처음으로 가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과거와는 다르게 정보가 평등하게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면서 세상이 조금 더 살기 좋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정말 세상을 ‘좋게’ 바꾸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인터넷 기업들이 거대화되고 있으며, 정부는 점차 네트워크를 통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짓 정보, 가짜 뉴스는 인터넷을 타고 확산되면서 과거보다 더 큰 영향력을 우리들에게 끼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이 ‘선(善)’한 도구인가라는 의문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이 세상을 바꾸고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권력과 자본에 의해 다시 지배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이에 저항하고 있는 한 줌의 세력이 그 지배를 조금씩 드러내고 있으며 늦추고도 있습니다. 인터넷은 선과 악 양면의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시민이라면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정보 통로의 뒷면에서 어떤 싸움이 벌어지고 있는지 제대로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해를 위해서 이 책, “21세기 권력”을 읽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21세기권력, #제임스볼, #이가영, #다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