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본능의 과학 - 왜 우리는 결정적인 순간에 어리석은 선택을 할까?
레베카 하이스 지음, 장혜인 옮김 / 윌북 / 2021년 11월
평점 :
품절
“본능의 과학 (레베카 하이스 著, 장혜인 譯, 윌북, 원제 : Instinct: Rewire Your Brain with Science-Backed Solution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Achieve Success)’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레베카 하이스 (Rebecca Heiss)는 진화 생물학자이자 스트레스 관리 전문가라고 합니다. 레베카 하이스는 특히 인간의 사고 방식과 행동 패턴에 대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는데, TEDx 강의 등을 통해 대중과도 많은 만남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본능의 과학”은 과거 문명 이전에 우리의 뇌가 진화해온 방식대로 문명 사회인 현대를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오작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리의 어리석은 행동과 선택이 결국 뇌와 뇌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하고 있음을 이야기해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진화 생물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여러 본능, 생명으로서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 할 생존 본능, 다양성 본능, 자기 기만 본능, 소속감 본능, 정보 수집 본능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특히 성 본능은 인간이 생물로서 가지는 필수적인 본능 중 하나입니다. 성별에 따른 성 본능은 사회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강화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성 본능은 인류라는 종의 확산과 번성에 도움이 되었지만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인류의 발전에 장애물이 되어가고 있으며 갈등을 일으키는 주된 요소 중 하나가 되어버렸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특히 저자는 본인의 실험을 통해 충격적인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합니다. 유능한 여성 임원들에게 암시적 연상 검사를 수행하게 하였는데 ‘리더’와 관련한 단어는 주로 남성과, ‘가족’과 연관된 단어는 주로 여성과 더 빨리 연결했다고 합니다. 힘있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성들 조차 리더의 이미지를 여성이 아닌 남성과 연관을 짓고 있다는 사실에서 성 본능이 강력한 사회화의 과정을 거쳐 우리의 성 인식에 깊이 각인되어 있다고 저자는 결론내리고 있습니다.

진화생물학 책을 읽다 보면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는 것 자체가 마치 운명론적이라던가 어쩔 수 없는 당위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화생물학 관련 서적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좀더 다른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우리는 수십 만 년 동안 진화해왔지만 불과 몇 천 년에 걸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문명을 건설하였습니다. 본능과 무의식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성과라 생각합니다. 분명 이것은 우리가 숱한 뇌와 본능의 오작동에도 불구하고 이를 개선하고 이겨내려는 전 인류적인 노력과 통제력의 결과가 아닐런지요. 그렇다면 개인의 삶 역시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우리의 몸, 뇌, 본능은 과거부터 진화해온 관성대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우리는 합리성과 이성의 존재로 인해 이를 적절히 통제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많은 진화생물학 책에서는 바로 이 인간의 통제력과 제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어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본능대로 살지말고 본능을 통제하고 제어하여야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교훈 말입니다.
#본능의과학, #레베카하이스, #장혜인, #윌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