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법 - 유체역학으로 바라본 경이롭고 매혹적인 동식물의 세계
송현수 지음 / Mid(엠아이디)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법 (송현수 著, MID)”을 읽었습니다.



제목만 보면 소설이나 시집 같은 느낌이 들지만 은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진짜로 개와 고양이가 어떻게 물을 마시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엄연한 대중과학책입니다. 


그러고 보니 저자의 이름이 낯익습니다. 바로 “커피 얼룩의 비밀”, “이렇게 흘러가는 세상” 등을 통해 유체역학을 우리에게 알려준 바로 그 작가입니다. 저자인 송현수 박사는 “커피 얼룩의 비밀”을 통해 음료의 이야기를 통해 미시적 관점에서 벌어지는 유체 역학이라는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또한 “이렇게 흘러가는 세상”에서는 우리의 삶에서 어떻게 유체역학을 다루고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전작들을 읽으면서 유체역학이라는 분야를 대중에게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설명한 책은 이 책이 아마도 처음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에 송현수 박사가 새로운 이야기를 들고 찾아왔습니다. 바로 이번에 읽은 “개와 고양이의 물 마시는 법” 역시 유체 역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개와 고양이가 물을 마시는 방법과 유체 역학이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놀랍게도 관계가 있습니다. 아니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유체에 둘러 쌓여 살고 있고 유체를 활용해서 생명을 이어나갑니다. 그러므로 유체 역학을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유체 역학을 활용하여 생존하도록 진화를 이어왔습니다. 


물 마시는 것 뿐 아닙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민들레 씨앗이나 단풍 씨앗처럼 유체 역학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살아가는 범위를 적극적으로 넓혀가는 식물 역시 유체 역학을 이용합니다. 그 뿐 아닙니다. 식충 식물은 유체 역학을 이용해 곤충을 잡아먹습니다. 그리고 물 속에서 집을 짓는 버들붕어나 거대한 댐을 짓는 비버 역시 유체 역학을 이용하지요.

이러한 유체 역학을 가장 극적으로 이용하는 동물은 바로 새나 곤충일 것입니다. 바로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 다니는 데 유체 역학을 적극적으로 이용합니다. 인류는 오랜 세월, 기구와 비행기라는 도구를 발명하기 전까지는 새를 부러워했습니다. 새나 곤충은 날개짓을 통해 양력을 만들어내고 그 양력을 통해 중력을 이겨내고 하늘을 날아다닙니다.

그중 책에 소개된 모기의 비행 능력은 정말 놀랍습니다.  날개를 내리치는 동작에서 와류가 발생하거고 이 와류가 날개 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양력을 발생시키는데 모기는 이 와류를 활용해 추가적인 양력을 얻어 비행 능력을 극대화시킨다고 합니다. 



어렵다고만  생각했던 유체역학이지만 사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이 유체역학을 이용해오고 있었습니다. 사소하게는 음료를 마시는 행위부터 비행기를 탈 때, 그리고 운전할 때 등등. 우리 인간 뿐 아닙니다. 동물이나 식물 등 생명체들은 자기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진화해왔고, 그랬기에 지금 생존해 있습니다. 우리는 유체에 둘러 쌓여 있고, 유체를 활용해 생명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어렵지만 그래도 유체 역학이 어떤 것인가인지는 교양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송현수 박사의 유체역학 3부작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개와고양이의물마시는방법, #송현수 #MID,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