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 어쩌다 자본주의가 여기까지 온 걸까?
데이비드 하비 지음, 강윤혜 옮김 / 선순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데이비드 하비 著, 강윤혜 譯, 선순환, 원제 : The Anti-Capitalist Chronicles)”를 읽었습니다. 



저자인 데이비드 하비 (David Harvey, 1935~)는 현재 뉴욕시립대 인류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리학자이자 마르크스 이론가로 잘 알려져 있는 분입니다. 특히 데이비드 하비는 불평등과 환경 문제에 있어 악영향을 끼치는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해 사회주의적 대안을 찾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경제학자, 정치학자들 역시 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파국 밖에는 남지 않는다는 것이 대체적인 컨센서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자본주의 틀 내에서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에 반해 데이비드 하비는 자본주의의 틀 자체를 부수거나 바꾸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자본주의적 모순의 많은 상황은 자본 축적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인식입니다. 자본주의적 생존방식 자체가 탄소 급증과 부와 소득의 불평등을 불어왔다는 것이지요. 

특히 불평등이 극도로 심화되었으며 기후위기와 같이 시급하면서도 당면한 문제를 고려하면 데이비드 하비는 지금의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사고 방식을 바꾸고 정치적, 경제적인 근본 틀을 바꾸어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그런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이지요. 

자본은 그 특성상 노동과정과 그 성과의 배분을  설계하기 때문에 자본 축적을 태생적으로 잉태하고 있으며 이는 언제나 폭력적이며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특히 최근의 금융 기법과 결합한 자본 축적은 자본 약탈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대중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 젠트리케이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민중을 토지에서 내쫓고 공유지를 폐쇄하고 임금노동자나 소작농으로 전락시킨 인클러저 운동이 대표적이었죠. 지금에 와서는 특정 자본가 계층이 이미 축적된 유무형의 자산을 탈취하거나 훔치는 형태로 자신의 자본을 축적해나가고 있습니다. 과거에 생산과정에서 노동을 착취하여 자본을 축적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이러한 방식의 자본 축적 혹은 자본 약탈은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강력하게 자본 축적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더 이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입니다. 


이런 자본의 축척 혹은 약탈로 인해 발생하는 부와  소득의 불평등은 반드시라 해도 좋을 정도로 사회 불안을 야기하고 자본주의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합니다. 특히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혼란의 상당수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모순이 가져다 준 결과라 보더라도 무방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자본주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반자본주의적 정치 행동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COVID-19 팬데믹 사태에서 가장 잘 대응하고 있는 국가(예를 들어 한국이나 대만 같은)들이 그나마 신자유주의의 물결에 영향을 덜 받은 국가들인 것은 시사점이 크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책,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는 마르크스주의자인 저자가 자신이 바라본 자본주의의 모순을실제 상황에 비추어 날카로운 분석과 함께 보여줍니다.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본주의가 가지는 모순적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이 무엇이 있는가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는 독서 경험이 되었습니다.



#자본주의는당연하지않다, #데이비드하비, #강윤혜, #선순환,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