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록 - 미국을 지배하는 또 하나의 제국 건들건들 컬렉션
폴 배럿 지음, 오세영 옮김, 강준환 감수 / 레드리버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록 (폴 배럿 著, 오세영 譯, 강준환 監, 레드리버, 원제 : Glock : The Rise of America's Gun)”을 읽었습니다.   

 ​




이 책의 독특한 점은 총기 규제에 대한 특정한 의견, 즉 찬성과 반대에 대해 한 쪽에 치우쳐 서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다만 글록이라는 총기 브랜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국 시장에 받아들여졌는지에 대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라는 나라와 구성원들이 총기에 대한 의견과 문화, 그리고 그 이면까지를 다루면서 왠만한 스릴러 소설을 능가하는 섬뜩함을 독자에게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글록은 성(性)을 매개로 유명인사들을 공략하면서 시장 내 인지도를 넓혀갑니다. 스트립쇼 극장인 골드 클럽에서 매주 목요일 진행한 ‘글록의 밤’ 에피소드에 이런 내용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코카인과 같은 마약, 성매매 등 불법적인 수단들이 활용되죠. 물론 글록의 책임자는 이러한 불법 행위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강조하기는 하지만 늘 이곳에서는 불법적인 수단들이 늘상 활용되었습니다. 

또한 글록은 그 총을 사용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경찰 등 법 집행 기관에 납품하기는 해도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는 총의 성능을 강조할 수 있다면 범죄자가 사용하는 장면도 허용합니다. 다른 총기 브랜드와는 다르게 말이지요. 실제로 ‘다이하드 2’에서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한 총기로 글록이 대중 문화에 처음 등장합니다. 미국 대중은 그 총이 누가 사용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얼마나 힙(hip)한지 그리고 성능이 얼마나 좋은지가 중요한 것이었죠. 

이 책에서 더욱 섬뜩한 것은 바로 일반 시민들의 인터뷰 내용이었습니다. 그들은 총기를 소유함으로써 더욱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합니다. 심지어 성경 구절, 혹은 신의 가르침으로 총기 소유 및 휴대를 정당화하고 신의 뜻을 따르는 것이라 이야기하는 대목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
 


이 책은 ‘글록’이라는 총기 브랜드를 이야기함으로써 그 이면에 숨은 미국의 총기 문화에 대해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독립부터 서부 개척 시대를 거치면서 자경단 문화가 발달한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총기는 정말 복잡한 문제임이 틀림없습니다. 비슷한 문화와 의식구조를 가지지 못한 우리로서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문제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이 총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된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글록, #폴배럿, #오세영, #강준환, #레드리버, #북이십일, #건들건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