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숫자는 어떻게 인류를 변화시켰을까? ㅣ 혁명 시리즈
칼렙 에버레트 지음, 김수진 옮김 / 동아엠앤비 / 2021년 6월
평점 :
“숫자는 어떻게 인류를 변화시켰을까 (칼렙 에버레트 著, 김수진 譯, 동아엠앤비, 원제 : Numbers and the Making of Us: Counting and the Course of Human Cultures)”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수학사를 다룬 대중과학서적이자 역사책입니다. 다른 교양 수학 서적과 다른 점은 인류라는 종이 생존하고 성공적으로 문화와 문명을 이루는데 수와 수학이 미치는 영향에 보다 중점을 다루었다는 것입니다.

저자인 칼렙 에버레트 (Caleb Everett)는 마이애미 대학에 인류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문화 속에서 언어와 인지를 연구한다고 합니다.
이 책의 구성은 인간의 경험에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숫자에 대해 탐구하고, 숫자가 없는 세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봅니다. 그리고 숫자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함께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숫자를 셀 수 있어 구체의 표현이라 오해하기 쉽지만 숫자로 표현되는 수는 사실 구체(具體)가 아니고 추상(抽象)화된 개념입니다.
인류는 숫자는 언어적 혁신의 핵심으로 환경에 대한 변화를 촉발시킨 인간의 창조물이며 이 개념 도구 덕분에 생존에 결정적 유리함을 획득하게 되었을 것이라 저자는 추측하고 있습니다. 실제 우리는 사회 생활을 하는데 있어 키가 얼마인지, 내가 산 물건의 값은 얼마인지, 나이가 얼마인지 등등 부지불식간에 많은 숫자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숫자에 대한 답을 하는데 있어 크게 어려움을 느끼거나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구 위에서 생존하고 있는 모든 생명체 중 유일하게 인간만이 이러한 숫자라는 개념도구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저자는 강조합니다. 이 대목에서 뭔가 좀 이상하다는 점을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수는 자연에 분명히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문어의 다리는 여덟(8)개이고, 개의 다리는 네(4)개이며, 사(4)계절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것의 규칙성을 인지하고 추상화, 개념화하여 언어 체계에 편입시켜 사고와 인지의 일부분으로 체화한 것은 인간이 유일합니다. 그렇기에 언어체계에 편입된 숫자는 인간의 발명품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10진법에 기반한 수 체계 속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7진법, 12진법, 60진법 등 다양한 수체계가 있었고 그 흔적은 우리 생활 속에 구석 구석 남아 있기도 합니다. 이 책을 통해 숫자라는 체계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전했으며, 인류라는 종이 번성하고 지구 상의 지배종이 되기 까지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참 흥미롭고 즐거운 독서 경험이었습니다.
#숫자는어떻게인류를변화시켰을까, #칼렙에버레트, #김수진, #동아엠앤비, #문화충전, #문화충전200, #명사의숫자, #숫자가없다면, #동물들의숫자, #숫자와연산, #숫자와생계, #서평단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