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방 - 법의인류학자가 마주한 죽음 너머의 진실
리옌첸 지음, 정세경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뼈의 방 (리옌첸 著, 정세경 譯, 현대지성, 원제 : 存骨房: The Bone Room)”을 읽었습니다. 

뼈의 방이라 함은 법의인류학자들이 기증받은 유골을 모아둔 곳을 의미합니다. 이곳에는 신원을 알 수 없는 시신, 가족이 인수하지 않으려는 시신, 기증 받은 시신들이 모여 있다고 합니다. 

그 뼈 하나 하나에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습니다. 그렇기에 뼈의 방에 있는 유골 상자 하나는 한 사람의 삶이라 생각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자인 리옌첸 (李衍蒨)은 유골과 시체의 신원을 찾는 일을 하는 법의인류학자라고 합니다. 저자는 자신의 ‘뼈의 방’에 있는 많은 유골들의 이야기를 이 책에 담아냈습니다. 이 책은 뼈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삶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뼈는 죽어서야 비로소 드러나는 존재이지만 살아 있는 동안 몸과 함께 성장하며 일생의 모든 경험을 하나 하나 기록합니다. 그러므로 뼈에 새겨진 흔적들은 그 사람이 살아온 인생의 전기라고 해도 무방하다고 합니다. 


법의인류학자의 임무는 뼈를 분석하여 유골의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는 법의학자와는 그 역할이 다르다고 하는데요. 법의학자는 사망원인을 찾는 것이 역할인데 주로 연조직이 남아있는 시신을 다룬다고 합니다. 하지만 법의인류학자는 백골화된 시체 혹은 미라화된 시체를 다루기도 한다고 합니다. 유골을 처음 접하고난 다음 법의인류학자가 하는 일은 바로 Big 4라 할 수 있는 정보, 즉 성별, 나이, 혈통, 키를 찾아내는 일이라고 합니다. 외상, 만성 질병, 활동 흔적을 조사하여 Big 4와 연결하면 유골의 주인에 대한 기록 파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이 경험하고 배운 많은 정보들을 자신의 경험에 얹어 전해주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음으로서 이름도 생소한 법의인류학이라는 학문의 역할과 그 효용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또한 삶과 죽음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뼈의방, #리옌첸, #정세경, #현대지성, #법의인류학, #법의학, #고고학, #인류학, #유골, #시체, #해부학, #미제사건, #문화충전 #서평이벤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