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를 여니 양자역학이 나왔다 - 읽을수록 쉬워지는 양자역학 이야기
박재용 지음 / Mid(엠아이디)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냉장고를 여니 양자역학이 나왔다 (박재용 著, MID)”를 읽었습니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양자역학에 대한 원리와 이를 이용하고 있는 각종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책입니다.


저자인 박재용 작가는 과학저술가이자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년의 비밀’ 시리즈를 대표집필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과학이라는 헛소리”, “과학이라는 헛소리 2” 등을 통해 유사과학의 각종 사례와 폐해를 독자들에게 알려주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뿌리와이파리)”나 “모든 진화는 공진화다” 같이 특정 과학 분야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걸쳐 대중들에게 과학과 과학기술이 미치는 영향 등을 알리기 위한 집필 활동을 계속해서 하시는 분입니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서문, 일상에서 만난 양자역학, 자연에서 만난 양자역학, 양자역학의 세계로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서문에서는 양자역학의 역사, 그리고 양자역학이 구축한 세계관 등을 설명하고 있어 뒤에 이어지는 양자역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일상에서 만난 양자역학에서는 양자역학에서 원자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빛의 정체 등을 설명하고 있으며 자연에서 만난 양자역학은 광학의 역사, 양자생물학, 양자얽힘 등을 설명합니다. 양자역학의 세계로에서는 표준모형, 불확정성의 원리, 상보성의 원리 등 양자역학에 대해 좀더 심화된 설명을 이어갑니다. 


반물질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십니까? 이전에도 반물질은 SF에서도 소재로 자주 활용하던 개념이긴 했는데 대중적으로 그 이름이 오르내린 것은 아마 댄 브라운의 소설과 영화 덕분이 아닐까 합니다. 덕분에 반물질을 폭발물로 알고 있는 분도 있고, 아니면 이론 상의 산물로 알고 있는 분도 있지만 실제로는 일상에서도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암 검사에 주로 활용하는 PET-CT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장치,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입니다. 이 장치는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가 쌍소멸하면서 발생하는 감마선을 촬영하는 장치로 양자역학을 의학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사례이지요.


양자컴퓨터나 반도체와 같이 우리가 언론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개념들 뿐 아니라 간판이 햇빛에 의해 누렇게 변색되는 이유, 하늘이 파랗고 노을이 붉은 이유 등 현실의 다양한 사례와 연결하여 양자역학을 설명하고 있어 비교적 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입문서에 비해 비교적 본격적으로 양자역학을 설명하는 책이다 보니 마냥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동안 양자역학에 대한 책을 상당수 읽어왔지만 누군가 그러더군요. 양자역학은 이해할 수 있는 과학이 아니며 양자역학은 그냥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이지요. 양자역학은 인간의 직관에 반하는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양자역학의 문을 열어젖힌 많은 과학자들 역시 양자역학을 부정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언어나 상식은 직관에 의해 구축되어 왔으나 우주나 자연은 원래 인간의 직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인간의 언어나 상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할 지 모릅니다. 또한 이러한 양자역학의 이해하기 어렵다는 특징으로 인해 많은 대중문화에서 오용하고 있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양자역학에 대해 어려워한 독자라면 “냉장고를 여니 양자역학이 나왔다”를 통해 조금은 더 가까워지는 것도 좋은 독서 경험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냉장고를여니양자역학이나왔다, #박재용, #MID,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