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사회의 종말 - 인권의 눈으로 기후위기와 팬데믹을 읽다
조효제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탄소 사회의 종말 (조효제 著, 21세기북스)”을 읽었습니다.


저자인 조효제 교수는 한국인권학회장, 국가인권위원회 설립준비기획단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세계인권선언 70주년 유엔 본부 기조 강연을 진행한 인권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저자도 이야기하듯이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 문제와 인권 문제를 연결시켜 생각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저자 역시 10여 년 전 우연한 기회에 가진 관심으로 인해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연구하였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탄소 사회의 종말”은 인권의 시각에서 기후 문제를 다루고 대중의 관심을 촉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한 책입니다.


저자는 자본주의의 논리와 작동방식을 내면화한 고탄소 사회체제와 그러한 체제에서 파생한 불평등이 전 지구적으로 깊이 뿌리 내린 현실을 ‘탄소 사회’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기후 문제를 과학의 관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을 부각하고 기후 대응의 일반적인 패러다임인 감축과 적응을 넘어서는 관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후위기에 대한 관점 및 방향성의 정립 역시 중요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지구, 생태, 빙하와 같이 거시 담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권 문제 역시 강조해야 기후 위기에 대한 행동을 촉발시키는 효과가 크다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기후 위기는 인류의 실존에 관한 문제로 탄소 자본주의와 이에 부역하는 산업적 이해관계나 정치 권력은 반인도적인 범죄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최근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드러났듯이 재난은 보편적이지만 재난으로 인한 악영향은 보편적이지 않고 차별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알 수 있듯이 전통적인 인권담론으로는 기후위기 하에서 우리 시대의 문제를 감당할 수 없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전통적인 인권 담론에서는 환경이 도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본원적 가치나 내재적 가치로 전환하여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주장입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시정 연설에서 2050년 탄소 중립 선언을 한 바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정략적이거나 인기 영합주의적인 발상이어서는 안되고 여야나 민관이 따로 없이 인류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절대절명의 목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합니다. 


 

 


#탄소사회의종말, #조효제, #21세기북스, #기후위기, #기후변화, #환경, #기후불평등, #탄소사회, #탄소중립, #기후인권, #문화충전

 




※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