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세상을 만든 6가지 놀라운 발견 - 과학 영재라면 꼭 알아야 할 테크놀로지의 역사
스티븐 존슨 지음, 강주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의 세상을 만든 6가지 발견 (스티븐 존슨 著, 강주헌 譯, 한국경제신문, 원제 : How We Got to Now: Six Innovations That Made the Modern World)”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세상을 바꾼 6가지 기술의 시작과 역사를 다룬 책입니다. 얼마 전 읽은 “길 잃은 시간여행자를 위한 문명 건설 가이드 (라이언 노스 著, 조은영 譯, 웅진지식하우스, 원제 : How To Invent Everything: A survival guide for the stranded time traveler)”의 청소년용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의 저자인 스티븐 존슨 (Steven Johnson, 1968~)은 미국 태생의 대중과학 작가이자 미디어이론가입니다. 그의 저서 중 우리나라에 상당수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특히 그의 저작 중 “감염도시 (김명남 譯, 김영사, 원제 : The Ghost Map)”와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서영조 譯, 한국경제신문, 원제 : Where Good Ideas Come From)”는 매우 훌륭한 독서 경험이었던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오늘날의 세상을 만든 6가지 발견”은 PBS와 BBS가 공동 기획하고 2014~2015년에 방영한 6부작 다큐멘터리 “How We Got to Now”라는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펴낸 것입니다. 이 책은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강주헌 譯, 프론티어)”라는 제목으로 2015년에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오늘날의 세상을 만든 6가지 발견”은 이를 청소년용으로 같은 번역자가 다시 번역한 책으로 보입니다.


저자인 스티븐 존슨은 이 책에서 혁신의 역사는 현미경으로 보이는 원자부터 전지구적인 기후변화 사이의 모든 차원에서 일어나므로 이런 ‘다양한 차원을 공평하게 다루는 해석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롱 줌(long zoom)’적인 역사 기술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유리와 유리가 일으킨 현대적 의미의 변화를 이해하려면 유리의 원료부터 세밀하게 들여다보기도 해야 하고 유리 제조 산업이 일으킨 영향도 역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는 6가지 혁신적 발견을 유리, 냉기, 소리, 청결, 시간, 빛으로 정의하고 이의 발견부터 오늘날의 현대를 만든 기술로의 발전까지를 그가 말한 ‘롱 줌’적인 기술방법으로 기술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여러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 그 중 공통적인 주제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보통 사람’의 비범한 혁신입니다. 우리는 에디슨(Thomas Alva Edison, 1847~1931)만을 기억하지만 에디슨은 독창적인 발명보다는 이미 있는 기술의 개선에 주력했던 인물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기술은 동일한 발명을 수많은 연구자들이 독자적으로 이루어내는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이죠. 이런 알려져 있지 않은 영웅들의 아이디어들이 모여 혁신과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는 혁신은 예상을 항상 뛰어넘는다는 것입니다.  보통 혁신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지만 사회에 확산되어 효과가 누적되면 그 파급효과는 예상하지 못하는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경향이 보입니다. 양(Quantity)이 질(Quality)을 만들어낸다는 양질전환과도 일맥상통하는 이야기입니다. 스마트폰이 세상을 바꾸는 것, K-POP이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의 정치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을 직접 목격한 우리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독서경험이었습니다.  


#오늘날의세상을만든6가지발견, #스티븐존슨, #강주헌, #한국경제신문, #기술사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