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쓸모 - 불확실한 미래에서 보통 사람들도 답을 얻는 방법 쓸모 시리즈 1
닉 폴슨.제임스 스콧 지음, 노태복 옮김 / 더퀘스트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과 자기 자신으로 밖에 나누어지지 않는 수 중 1 이외의 정수를 ‘소수(素數, Prime Number)’라고 합니다. 아마 연배가 좀 있으신 분들은 ‘솟수’라고 배웠던 기억이 있으실겁니다. 정의는 매우 단순한데 이 소수라는 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대단하다고 합니다. 우리가 자주 만나고 있는 소수의 활용 예는 바로 RSA 암호 체계에의 활용을 들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수에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는 수비학(數秘學, Numerology)이라는 학문이 있었는데 여기에서도 소수에 대한 관심이 대단했고, 많은 수학자들도 이러한 소수의 규칙성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그 중 유명한 것이 바로 ‘리만 가설’입니다. 휴 몽고메리 (Hugh Lowell Montgomery, 1944~)는 소수의 분포를 표현하는 리만제타함수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었는데 마침 카페에서 유명한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Freeman John Dyson, 1923~2020)을 만나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 자신이 도출한 함수식을 보여주게 되는데, 다이슨은 엄청나게 놀라게 됩니다. 소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식이 바로 양자 역학의 입자 에너지 분포를 나타내는 식과 완벽하게 동일했기 때문이지요. 이렇듯 우주의 만물이 수와 수식으로 표현되는 일화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학창 시절, 우리를 지독히도 괴롭힌 과목에 대해 물어본다면 아마도 대부분은 수학이라 대답할 것입니다. 사실 수학이라는 것은 문제를 풀어 정답을 찾아내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배우는 학문이 아닙니다. 이건 계산기가 훨씬 빠르고 정확하죠. 심지어 요즘은 수학 app이나 프로그램이 있어 해답을 순식간에 찾아내고 그래프를 척척 그려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어려워 하면서도 수학을 배워야만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이죠. 


‘더하기 빼기만 할 줄 알면 되지 왜 수학을 배워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우리 아이가 했다고 가정해보죠. 어떤 대답을 하여야 할까요? 수학은 무질서 속에서 질서를 찾아야 하며, 그러한 질서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그 과정이 아름다운 학문이라고 백날 이야기해봐야 아이들은 물론, 본인도 납득하지 못할 것입니다. 또한 수학이라는 학문에서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도 중요하지만 일반인들에게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수학적 사고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모두가 수학자가 될 필요는 없지만 모두가 수학에서 얻을 수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 사고방식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지요. (특히 가짜뉴스와 가짜 학문이 판을 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말이지요.)


그러면 어떻게 ‘수학의 쓸모’에 대해 이야기해줄 수 있을까요? 마침 그러한 고민을 해결해줄 신간이 출간되었습니다. 바로 “수학의 쓸모(닉 폴슨, 제임스 스콧 共著, 노태복 譯, 더퀘스트)”입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지난 40년 동안 ‘수학이 엄청 싫어지는 끔찍한 바이러스에 걸린 학생들을 가르쳐왔”지만 그러한 학생들을 수학의 즐거움으로 이끌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나이팅게일(플로렌스 나이팅게일, Florence Nightingale, 1820~1910)을 간호사로서 백의의 천사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물론 나이팅게일이 간호 철학을 확립한 간호학의 시조이긴 하지만 그에 더해서 뛰어난 행정가와 협상가, 개혁가였고 심지어 통계학자라는 것은 보통 간과하고 있습니다. (비록 관련 학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지만 나이팅게일은 영국 왕립통계학회의 정회원이었고, 미국 통계학회의 명예회원으로 공식적인 통계학자였습니다.) 특히 통계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를 간호와 위생에 활용하여 야전 병원에서의 사망률을 크게 낮춘 바 있습니다. 


이 책은 수학에 대한 책이지만 복잡한 수식은 나오지 않고, 수학이 왜 쓸모가 있고, 또 앞으로는 어떻게 쓰일지에 대해 앞서 이야기한 나이팅게일의 사례와 같은 이야기를 통해 굉장히 쉽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학이라고 하면 머리 아파하는 우리 아이들과 함께 조건부 확률을 통해 넷플릭스나 스포티파이가 우리의 취향을 어떻게 읽어내는지. 패턴과 예측을 통해 미래를 어떻게 계산하고 예측하는지, 일상에서 틀리지 않기 위해 왜 가정을 잘 세워야 하는지 등에 대해 읽어보면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PS. 근데 엄밀히 말하면 ‘수학의 쓸모’라는 제목보다는 ‘통계학의 쓸모’라는 제목이 더 잘 어울리지 않나 생각이 드는 것은…..


#수학의쓸모, #닉폴슨, #제임스스콧, #더퀘스트, #노태복, #통계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