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도시에서 별을 보기란 정말 하늘에서 별 따기 마냥 어렵긴 하지만, 가끔 시골길을 걷다 하늘이 탁 트인 곳에서 별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마치 우주에서 유영을 하고 있는 듯한 기분을 느끼곤 합니다. 그러기에 인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밤하늘을 수놓고 있는 그 많은 별들을 바라보며 신을 맞이 하는 듯한 감정을 느꼈을 것이며, 벅찬 마음으로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냈을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윤성철 著, 21세기북스)”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한 “인간과 우주”의 내용을 4회 분량으로 진행한 “서가명강” 강연을 책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래서 총 4부로 구성되어 있고 앞서 말씀드린 하늘, 우주를 바라보며 느꼈을 “이데아의 영역”이자 “신의 영역”이었던 우주에 대한 인식의 역사로 1부를 시작합니다. 우주론에 대한 역사를 보면 많은 철학자와 과학자들이 우주에 대한 숱한 논쟁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개괄을 펼쳐 보이면서 인류가 우주에 대해 이해해 가는 과정을 독자가 따라갈 수 있도록 보여주어 독자 역시 우주에 대한 이해를 보다 폭넓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플라톤은 우주가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통해 땅에서의 무질서를 벗어나기 위해 하늘에서 구원의 질서를 찾습니다. 바로 “천동설”의 탄생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은 우주의 실제를 반영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관측의 결과와 차이가 발생하고 우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가 있어 아리스타르쿠스 등의 철학자들은 “지동설”을 주장하게 됩니다. 완벽하게 아름다운 천동설에 균열이 가는 순간입니다. 하지만 당시의 관측 기술로는 “지동설”을 증명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기에 천동설을 보완하는 이론이 계속해서 추가되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에 의해 지동설이 천동설에 대항할 제대로 된 이론체계를 갖추게 되고 천문학이 발달하면서 사실로 증명되게 되죠. 이제 지구, 그리고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고 체계의 혁명이 일어나게 된 것입니다.



우주론에서의 핵심적인 궁금증 중 하나는 이 우주가 어떻게 시작하였는가입니다. 저자는 2부에서 빅뱅이론이 탄생하기까지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올베르스의 역설’이라는 유명한 질문이 있습니다. “밤하늘이 왜 어두울까”라는 단순한 질문이지만 여기에는 우주의 진리, 빅뱅이론에 대한 단서가 담겨져 있는 질문입니다. 과거의 우주론에서는 밤하늘이 어두울 수 없고 실제는 어둡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뉴턴도 아인슈타인도 놓쳐버린 질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주는 무한하지도, 영원하지도 않고 빛의 속도는 유한하기에 밤하늘은 여전히 어두운 것입니다. 즉, 우주에는 태초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단순한 질문에서 시작하여 우주의 시작까지를 2부에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별도 태어나서 자라고, 성숙하며 노쇠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됩니다. 이를 항성진화 (stellar evolution)라 합니다. 큰 별은 수백만 년, 작은 별은 수천억 년을 살아가지만 그 별들도 똑같이 생과 사를 반복합니다. 에너지만 존재했던 텅 빈 우주에 별의 탄생과 죽음으로 인해 점차 물질들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즉, 헬륨, 산소, 탄소, 철, 인 등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은 바로 별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우주는 바로 별과 물질, 에너지의 거대한 순환계이고 인간은 모두 과거에 별이었고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결론을 3부에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 우주에 우리만 있을까요? 굳이 “인간 원리”를 들이밀지 않더라도 이 광활한 우주에 지적생명체가 우리만 존재한다는 생각은 미처 하기 힘듭니다. 생명이라는 현상이 탄생하는 것은 드물기는 하더라도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아주 강력한 증거가 있기 때문이지요. 바로 우리들입니다. 그런데 왜 이 우주는 “거대한 침묵”에 쌓여 있는 것일까요? 바로 4부의 주제입니다.



천문학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인간의 관심은 오래전부터 하늘과 우주를 향해 있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우주에 대한 궁금증을 마음 속 깊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으로 인해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주론과 천문학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은 얼마든지 많고 조금의 수고만 들이면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니, 멀리서 찾을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바로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역시 천문학과 우주과학의 입문서로서 매우 훌륭한 가이드가 되어 줄테니까요.




#우리는모두별에서왔다, #윤성철, #서가명가, #21세기북스, #천문학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