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익숙한 건축의 이유 - 집 현관에서 대도시까지, 한 권으로 떠나는 교양 건축 여행
전보림 지음 / 블랙피쉬 / 2024년 6월
평점 :
“유학 실무를 위해 런던에 살았던 5년의 시간 동안 나는 그저 수단이고 배경인 줄 알았던 건축과 도시가 내 삶의 방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p.6>
저자는 그렇게 영국 런던의 삶을 반추하고 돌아보며 기록을 누적했고 그 공간, 삶의 공간과 그 공간에 연이어있는 건축이라는 대상이 어떠했는지, 그러함이 어떻게 익숙한 생활공간과 대화하는지를 단단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일상의 언어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건축 서적이지만 삶을 나누는 에세이이기도 합니다. 누구든 자신이 관심 있는 색깔의 안경으로 자신의 세계를 우리의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니 말입니다. 그게 저자에게는 건축이었습니다.
지난 저의 시간을 돌아보면 아파트 형태의 성냥 곽 같은 공동주택에서의 시간이 거의 30년이 된 듯 합니다. 그렇다고 이전의 주거형태가 공동주택이 아니었던가 생각해보면 그렇지도 않았습니다. 낮은 담들로 나름 시야와 대화를 공유했고, 공동 진입로이자 연장된 앞마당 개념의 골목을 공유했으며, 통반장 혹은 마당발 홍반장들의 언론조성으로 공지사항은 어김없이 전파되는 공동주택에 다름 아닌 단독주택 혹은 그 세입자로서의 시간을 보냈으니 말입니다.
또 어떤 시기에는 커다란 마당 같은 공터를 중심으로 공유하며 둥글게 대문들을 공터로 향하게 하는 구조의 작은 단위의 마을 같은 공동주택에서 살았던 기억도 있습니다. 우물이라는 것도 있었고, 빨래터라는 것도 있었고, 커다란 버드나무 아래 널따란 평상에서 밤이 맞도록 두런두런 말도 안되는 상상을 이야기하던 기억도 있었습니다. 모두가 아버지 어머니였고 모두가 형제 자매였던 그 시간들. 사실 그때는 만들어진 건축적 상황에 삶을 맞추어 살았고 살면서 관계의 연결을 통해 건축물의 확장 혹은 수정이 동반되는, 어쩌면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건축 공간에서의 시간이었다 싶기도 합니다.
“도시는 설계해야 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경영해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도시에 관한 법 또한 그러한 관점에서 만들어야 한다.”
<p.300>
지방 소도시 출신인 저는 그 고향의 변화 없음과 느려터진 일상의 시절이 지금에서야 그립기도 하지만 그 당시에는 그닥 좋아하지 못했습니다. 문화재 개발제한을 위한 건축물에 대한 고도제한이 존재하는 나지막한 시내와 대부분의 초록의 산들과 오래된 왕들의 무덤이 섬처럼 여기저기 흩어져있던 그 곳.
나이가 차고 서울로 떠나오면서 본격적인 시티라이프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지하철 환승역에서 펼쳐지는 육상경기를 방불케 하는 러너들, 깎아지른 듯 도로 양옆에 즐비한 고층빌딩들, 굉음을 발산하며 내달리는 외국산 자동차들과 실갱이를 벌이는 도로 운전자들의 고성이 쩌렁쩌렁 울려퍼지는 도시의 심포니까지. 그렇게 3-4평 정도의 학고방 같던 여인숙 건물을 개조한 신촌 월셋방의 기억과 이제야 재건축을 시작한다는 70년대 지어진 14평의 신혼 아파트의 추억까지. 도시는 무지랭이 촌놈에게 생명력 넘치는 만화경을 펼쳐보여 주었습니다.
그 혼잡함 속의 질서가 이 책의 저자가 말하는 건축 설계와 그 경영에 기인한 것이었다 싶습니다. 저자는 그렇게 영국 런던에서의 시간을 닫고 대한민국 서울에서의 시간을 열면서, 이러저러한 모양들과 쓰임에 대한 생각들을 여기저기 발로 디딘 공간적 체험으로 나눠줍니다. 대부분 저의 발이 닿기도 하였거나 차창 너머로 만났던 공간들에 대한 이야기라 퍽이나 와 닿았습니다. 특히 삼각지역 대탐험!
“이 도시는 우리 모두를 위한 도시이고, 우리는 다정한 도시를 누릴 권리가 있어서다.”
<p.377>
나와 우리의 삶의 공간에 대한 애착이 나와 우리의 삶의 질을 더욱 개선하는 시작이리라. 도로를 달리는 차들도, 인도와 골목길을 걷는 도보여행자들도, 이래저래 구축된 자전거 길의 라이더들도 모두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도시가 좀더 다정해져야 하겠다 싶습니다. 그게 우리 권리이니.
#익숙한건축의이유 #전보림 #블랙피쉬
#건축 #건축여행 #도시여행 #인문교양서
#도서제공 #서평단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