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신새 우는 소리
류재이 외 지음 / 북다 / 2025년 8월
평점 :
개인적으로 공포물을 그닥 찾아서 즐기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각 분야의 베스트 리스트에는 공포물이 빠지질 않습니다. 추억의 TV프로그램 방영물 베스트를 꼽자면, <환상특급>과 <전설의 고향>은 당연히 자리하고 있을겁니다.
몇몇 에피소드들에는 어린 시절의 추억들이 맺혀있는 <전설의 고향>은, 그 시절 즐길거리 없는, 그리고 금지와 터부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시간을 제공 받았던 숨구멍의 역할이 분명히 있었다 싶습니다. 이 전설의 <전설의 고향> 처럼, 각 지역의 전설을 픽업한 여섯 작가들이 빚은 이야기 여섯 편을 묶은 앤솔러지라면 그 기대치가 담보되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래서 걱정도 되었습니다.
‘그저 그렇고 그런 옛날 이야기를 버전업해내기만 한거 아니야?’
단 몇 문장의 지역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를 들입다 파헤치기도 하고, 비틀고 뒤집어 내기도 하며, 여섯 작가는 각자의 색깔과 생각과 세계를 재창조해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성.공.적.
금돼지와 원님 전설을 류재이 작가는 <금녀>로,
여우누이 전설을 이지유 작가는 <여우의 미소>로,
다리가름 의식에서 영감을 얻은 유상 작가는 <달리 가름, 다리가름>로,
박연폭포의 용녀와 박진사 전설을 박소해 작가는 <폭포 아래서>로,
호환으로 죽은 창귀 전설을 무경 작가는 <웃는 머리>로,
나름 익숙했던 반쪽이 전설로 위래 작가는 <반쪽이가 온다>로
그 시대의 폐습과 모순, 차별과 상처를 그려내면서도,
연대의식, 배려와 헌신, 해학과 풍자로 견뎌내고 이겨버리는 초월과 교훈을 넌저시 때로는 돌직구도 때려박아버립니다.
그래서
안타깝다가도 통쾌하고, 무서움에 몸서리 치다가도 해벌쭉 미소짓고,
긴박감에 손에 땀을 쥐다가도 한없이 깊은 우물을 들여다보듯 측은해지기도 했습니다.
“글쎄다. 나는 사람 말하는 짐승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람 귀는 듣고 싶은대로 들으니, 짐승이 무슨 말을 하든 사람 말처럼 들릴 수 있지. 생각보다 똑똑한 짐승도 많으니 말이다.”
-p.160, 유상 <달리 가름, 다리가름> 中
특히, <달리 가름, 다리가름> 이야기가 다리가름 의식에 품은 뜻인 단절을 통한 연결, Connecting through Cutting 을 스토리텔링 해내는 것, 그리고 <폭포 아래서>의 초반에 세 친구가 박연폭포에 당도해서 나누는 박연폭포 전설 이야기가 그 세 친구 중 하나의 이야기가 되면서 다시 전설(?)이 되는 Never-ending story 적 이야기 구조는 묘한 연결과 반복으로 전해오는 ‘전설’이라는 이야기의 속성을 담고 있는 듯 해서 인상적이었습니다.
전설에서 나왔으나 전설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의 우리들에게도 다르지 않은 생각을 전하고 말을 걸어오는 지금 이곳의 이야기로 만들어내는 그 태도들에 공감이 되었고, 그래서 매번의 이야기들 마다 여지없이 세계관이나 인물들에 설득되고야 말았습니다.
“네놈도 나랑 같다! 네놈도 사람을 홀리고 속이는 놈이란 말이다!”
-p.266, 무경 <웃는 머리> 中
미물이나 인간이나 모두 자신에 욕망에 눈이 어두워 제 몸뚱아리 찍히는지 모르고 달려가는 꼴은 매한가지요, 그런가하면 나는 이만했으니 너라도 행복하렴. 너의 그 아픔에 공감하고 내가 널 위해 꼭 복수하마 약속하는 마음은 또한 매한가지이니… 이 모든 각 지역의 전설은 그래서 입에 입으로 전해지면서 자신의 이야기나 이웃의 이야기가 들고 나며 더 살이 붙고 사건이 확장되었음이 분명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또 우리 앞에 도착한 新 <전설의 고향>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들려주는 목소리가 재미나게 담겨졌기에 ‘전설의 지금’으로 읽힐 만 하겠다 싶습니다.
#귀신새우는소리 #류재이 #이지유 #유상 #박소해 #무경 #위래
#북대 #전설의고향 #전설의지금 #미물이나인간이나매한가지
#금녀 #여우의미소 #달리가름다리가름 #폭포아래서 #웃는머리 #반쪽이가온다
#도서제공 #그믐 #서평단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