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격의 과학 - 표적을 정확하게 맞히는 사격 메커니즘 해설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가노 요시노리 지음, 신찬 옮김 / 보누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 총을 다룰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 같다. 보통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 해도 100발 이상의 사격을 해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론교육 및 총의 손질로 대부분의 훈련 시간을 보낸다. 사격 전, 몸을 지치게 만드는 훈련을 받은 후에야 겨우 탄착군 형성(3cm 원 안에 3발을 넣어야 함)을 하기 위한 3발 사격한다. 탄착군이 형성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탄착군 형성이 어떻게 되었느냐에 따라 가늠자의 상하좌우를 조정하여 표적 중심에 조준이 되도록 한다. 탄착군 형성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격을 하더라도 명중률이 낮아진다. 25m 거리의 표적을 사격하여 탄착군 형성하는 것은 총알 궤적과 상관이 있다. 정렬이 끝난 이후 사격은 20발(멀가중멀가중멀중가중 2회) 사격을 하여 등급을 나눈다. 특등사수는 몇 명 나오지 않은데 군에 다녀오면 다 특등사수라 한다. 가끔 놀이동산을 지나다 보면 비비탄 총알의 게임이 있다. 실제 총과는 차이가 있지만 점수 나오는 것을 보면 어느 정도의 실력인지 확인이 가능하다.


   내가 생각하는 사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늠자, 가늠쇠, 표적을 일치시켜 조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호흡, 세 번째는 자세라고 생각된다. 호흡은 숨을 들이쉬고 조금 내쉬면서 멈추어야 한다. 자세는 서서 쏴(힙 레스트, 오프 핸드), 중간 자세(무릎쏴, 앉아쏴, 쪼그려쏴), 엎드려쏴가 있다. 스나이퍼 관련 영화를 보면 대부분 엎드려쏴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안정적이고 명줄률이 높은 자세이기 때문이다.


   방음 사격장에서는 꼭 귀마개를 착용하여야 한다. 과거 방음 사격장에서 사격을 한 후 고생했던 기억이 있다. 일주일 정도 귀가 먹먹했었던 것 같다. 한국형 소총의 구경은 5.56mm이다. 각 나라별로 다른 구경의 소총을 사용하고 있다. 소총에 따른 탄약의 종류도 다양하다. 사격에서는 목표물을 정확하게 명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황에 맞는 소총과 탄환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p.98

25m에서 영점조준한 총은 300m 거리에서 거의 표적지 중심에 명중된다

p.187

은폐란 적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숨는 것을 말한다.

엄폐는 적의 사격에도 피해를 보지 않도록 튼튼한 엄폐물에 몸을 숨기는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 원큐패스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 핵심 문제 무료 동영상 강의 수록
정수진 외 지음 / 다락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데이터 분석 기사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책이다. 필기 책이고 실기는 파이썬 또는 R을 사용한다고 하니 참고하면 된다. 실전 모의고사 4회분이 부록 편에 있어서 먼저 1회분 정도는 풀어본 이후에 처음부터 공부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문제의 유형을 알아야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시작할지 계획이 세워질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 기획, 탐색, 모델링, 결과 해석의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그냥 문제를 풀어봤을 때 다 과락인데 특히 빅데이터 결과 해석의 내용이 파악하기 어려웠다. 품질 기사 자격증 공부를 했거나, 통계 관련 지식이 풍부하다면 접근하기에 용이할 듯하다. 실전 미니 테스트를 풀어보고, 이론을 공부한 다음 다시 테스트를 본다면 기억에 더 오래 남을 듯하다.


   DIKW 피라미드 순서는 데이터, 정보, 지식, 지혜이다. 빅데이터 조직 구조 유형으로는 집중, 기능, 분산 구조로 구분된다. 분석 방법론 단계는 분석기획, 데이터 준비,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현, 평가 순이다. 알고 보면 당연한 순서인데 몰랐을 때는 단계가 혼동된다. 데이터의 처리 기술에는 필터링, 변환, 정제, 통합, 축소가 있다. RPA에서도 데이터 추출, 정제, 변환 같은 규칙을 사용해서 작업을 하였던 것 같다. 파워 BI에서도 데이터 전처리로 변환은 필요하다. 데이터 사용에 있어 상태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듯하다.


   데이터 통계 기법으로 추출(표본추출, 확률 추출, 비확률 추출), 기술 통계(확률분포, 표본분포), 추론 통계(점 추정, 구간 추정, 가설검정)가 있다. 모집단의 30개 데이터를 취하면 충분히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중심극한 정리는 표본분포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분석 모델 구축 절차는 요건 정의, 모델링, 검증 및 테스트, 모델 적용 순으로 진행되며 이 가운데 분석 방향성을 정하고 협의하는 과정은 요건 정의 때 이루어진다. PDCA 사이클에서도 첫 단계가 중요한 것처럼 모델 구축에서도 방향성을 정하는 첫 단계가 중요한 듯 보인다.


   분석 결과의 시각화의 유형은 시간(막대그래프, 누적 막대그래프, 선 그래프, 영역 차트, 계단식 그래프), 공간(버블 맵, 등치 지역도, 등치선도, 도트맵, 카토그램), 관계(산점도, 산점도 행렬, 버블 차트, 히스토그램), 비교(히트맵, 체르노프 페이스, 스타 차트, 평행좌표), 분포(파이, 도넛, 트리맵) 시각화가 있다. 대부분 뉴스나 각종 문서에서 보는 데이터의 유형이지만 이름은 잘 몰랐는데 정리가 되는 듯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 에이지 이펙트 - 글로벌 경제를 뒤바꿀 신소비권력의 출현과 거대한 기회
브래들리 셔먼 지음, 박영준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구의 고령화는 시골에 가면 바로 실감할 수 있다. 최근 시골의 온천에 간 적이 있었다. 어르신들이 서로 인사를 하면서 한 어르신이 두 명의 어르신에게 여기 오셔서 마을을 다 비우면 어떻게 하느냐고 하였다. 그러면서 이야기를 하시는데 예전에는 50가구 정도 되는 마을이었었는데 현재는 2가구만 남아 있는 듯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부분 도시에서 생활하고 가끔 귀농하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극소수인듯하다. 이 책은 출생률 감소와 인간 수명의 증가에 따른 고령화에 중점을 두어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이런 도시와 농촌의 양극화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미래의 트렌드를 읽어낸 기업이라면 노화와 쇠퇴에 대한 공포를 덜어줄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자동차도 운전 보조 기술 등 고령자 친화적인 특성과 안전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건강한 상태에서 장수를 누릴 수 있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당연히 건강관리 관련 사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방식도 온라인 쇼핑으로 변화되고 있다. 투자를 할 때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가족의 모습도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주변만 보더라도 나이가 꽤 있지만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있다. 당연히 출생률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듯하다.


   저축액이 비교적 넉넉하더라도 은퇴를 늦추고 오랫동안 일하는 길을 택하는 사람들이 있다. 살기 위해 일하지 않기 위해서 미리 연금 등 노후준비를 해 두면 좋을 듯하다.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거 공간을 선택할 때, 50-60세 정도에서는 노후를 대비하여 준비해야 한다. 평균 수명이 늘어난 만큼 아프지 않고 건강히 살 수 있도록 해야겠다.


p.24

슈퍼 에이지 사회에서는 '은퇴 연령을 넘긴 노년층(통상 65세 또는 그 이상으로 정의)'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달하게 될 것이다.

p.27

배움이란 삶의 초기뿐만 아니라 전 기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

에이지즘(연령을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거나 소외시키는 이념 및 행위)

p.103

프랑스의 잔 칼망뿐인데, 그녀는 태어난 지 122년 164일이 되는 1997년 8월 4일에 세상을 떠났다.

p.119

모든 사람이 100세까지 산다는 말은 우리가 노년기라는 삶의 단계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p.151

"일하기 위해 사느냐, 살기 위해 일하느냐"라는 딜레마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도록 만든다.

p.227

주택의 크기가 줄고 혼자 사는 사람이 늘어나면 그들이 많이 찾는 1인용 음식이나 주류를 판매하는 산업 분야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p.283

10년, 20년, 30년 앞을 내다보고 본인의 장기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할 거주지를 고려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더 좋은 선택 : 결핍과 불균형, 바꿀 수 있다
마야 괴펠 지음, 김희상 옮김 / 나무생각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핵심은 2부 행동 부분 다르게 조직하기에서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한다.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과정을 네 단계로 정리하고 있다.

1. 시스템 인식 :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하는 단계

2. 목표 인식 : 어디로 가야 하는지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합의하는 단계

3. 포트폴리오 : 원하는 변화를 이루어갈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단계

4. 전파 및 효과 평가 : 해결책을 시스템에 안착시키는 단계

이 단계를 보면서 PAIIR 개선활동의 단계와 일맥 상통하는 듯하다. 문제 찾기, 요인 찾기, 개선하기, 정리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문제 해결 및 개선의 방법은 비슷한 것 같다.


  더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해서 책임, 능력, 연결, 행동, 소통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부에서의 시작은 타나 랜드 이야기로, 2부의 시작은 모노폴리 게임 규칙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왜 부루마블 게임이 생각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부루마블 게임에서의 기억은 주사위를 잘 던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서울을 구입하는 사람이 결국은 이겼던 것으로 기억한다. 모노폴리 게임의 목표는 되도록 많은 돈이나 재산을 버는 것이라고 하는데 오늘날의 사회를 보는 듯하다. 과연 그것이 인생의 목표는 아니겠지만 없는 것보다는 낳을 듯하다. 오래 사는 전 세계 다섯 지역의 공통점은 적절한 신체활동, 과식하지 않고 적당량을 즐기며, 야채류를 주로 먹는다고 한다. 어렵지 않은 듯하니 실천해서 만족한 인생을 오래 살면 좋을 듯하다. 3부에서는 부자들의 기부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언급하고 있다.


  영국의 경제학자 빌샤프는 미래가 출현하는 사회적 과정을 세 가지 지평이라는 모델로 제안하고 있다. 지평 1은 현상 유지, 지평 2는 기존의 시스템이 더는 미래를 감당할 수 없는 상태, 지평 3은 기존의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는 자세이다. 저자는 달라질 수 있는 지평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p.97

우리는 더 나은 인생을 살아갈 충분한 잠재력을 지닌 존재다.

p.162

건강하게 오래 사는 비결은 아무래도 속도에 치중하지 않고, 한 가지 일에만 너무 매달리지 않는 활동인 모양이다.

p.172

가장 중요한 것은 맑은 머리로 뭐가 문제인지 의식하고, 배움의 자세로 앞을 향해 나아가는 태도다. 미래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라, 우리의 현재가 만든다.

p.282

인간은 문화에 맞춰 태어난다.

p.307

우리는 어떤 순간에도 최고이자 최선의 인간이 되고자 진실하게 행동하려 노력해야 한다. 오늘 나는 희망하는 목표에 한 걸음이라도 더 가까이 가고자 노력했는가?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100세 골퍼를 꿈꾼다
이승헌 지음 / 한문화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프의 기술적인 스윙 내용은 아니지만 멘탈 및 건강을 잡기 위해서 읽어두면 도움이 될듯하다.


   저자가 102세 골퍼와 라운딩을 한 후 자신도 100세 골퍼가 되기로 결심한 내용을 정리해 두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일곱 가지 예술이 필요하다고 한다. 에너지, 피트니스, 호흡, 명상, 기공, 힐링, 의식이다. 각 내용의 끝부분에는 실제 주변의 체험기를 수록해 두어 현실감이 있다. 시간을 내어서해야 하는 것도 있고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실천 가능한 것도 있어 실천해 본다면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과연 몇 살까지 골프가 가능할지는 모르겠으나 꾸준히 몸 관리를 하여 에이지 슈터는 해봐야겠다.


   찾는 퍼터가 없어 실제로 만든 퍼터는 독특했다. 과연 실제로 퍼팅을 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긴 했다. 드라이버보다는 퍼터 같은 사람이 되기를 희망한다.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기 때문에 인생도 골프도 재미있는 것 같다. 배우는 것도 새롭고 모르기 때문에 재미있는 듯하다. 뭔가를 알게 되면 흥미를 잃게 되는 듯하다.


   연습의 중요성은 다른 골프 책에서도 많이 언급되어 있는 것 같다. 연습을 하는데 그냥 공만 때리는 것은 시간 낭비일 수 있다. 뚜렷한 목적을 갖고 계획대로 연습을 하여야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집중에 대한 프리샷 루틴은 유리병 채우기로 표현된 책도 있었다. 마음의 유리병에 자신감을 채워 넣음으로써 좋은 샷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열심히 스윙 연습을 하여 자신에게 맞는 스윙을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다.


p.40

안니카 소렌스탐 (LPGA 18홀 59타 기록, 시즌 평균타수 68타)

"연습을 많이 하지 않는 분들은 연습을 많이 한 사람과 비교해 못 치는 게 당연해요. 자신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즐겁게 플레이하세요."


p.42

내 골프는 내가 아니라 '내 것'이라고 생각하면 골프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여유를 가질 수 있다.


p.137

집중할 때는 의식이 목표를 향하고, 집착할 때는 욕심을 향한다는 것이다.

프리샷 루틴을 하며 스윙에 온전하게 집중할 때는 마음이 안정되어 있고 편안하다.


p.223

연습한 만큼 힘이 빠지고 자신감이 생긴다.


p.257

골프도 인생도 불확실하다.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 불확실성은 우리에게 불안과 고통을 주지만 동시에 우리를 끊임없이 노력하고 창조하게 함으로써 삶을 더 풍요롭게 한다. 다음 샷에 어떤 공이 나올지, 다음 라운드가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기 때문에 골프가 더 재미있지 않은가.


p.273

스윙을 조금씩 개선하며 군더더기 없고 깨끗하고 일관된 자신만의 스윙을 완성해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