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동생이 최근에 고전소설들에 빠져서 덕분에 저도 읽어보게된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로 출간된 책으로 읽게되었어요.


<호밀밭의 파수꾼>역시 제목은 이미 수없이 들어본 책이었기에..

빨리 읽어봐야지!! 하는 마음으로 읽게되었답니다.

 

 

저자는 J.D.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은 무려 1951년에 출간된 책이지만,

저자와는 나름 동시대를 살았었네요..! 오오 감동.

 

 

 

 

그저 우리는 늘 변해간다.

이번에는 코트를 입고 왔다든지, 지난번에 왔을 때 짝꿍이었던 아이가 홍역에 걸려 다른 여자아이와 짝이 되어 있다든지 하는 것처럼.

아니면, 에이글팅거 선생님 대신 다른 선생님이 아이들을 인솔하고 있다든지, 엄마하고 아빠가 욕실에서 심하게 싸우는 소리를 들은

다음이라든지, 아니면 길가의 웅덩이에 떠 있는 기름 무지개를 보고 왔다든지 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늘 뭔가가 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


<호밀밭의 파수꾼>의 주인공은 '홀든 콜필드'라는 16살짜리 소년이에요.

주인공이 묵묵히 자신의 이야기, 부모님이야기, 가족이야기, 친구이야기등을 해주며 이런저런일들이 일어나는데요.


전 이 책을 읽으며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가 생각났어요.
하지만 <수레바퀴 아래서>의 주인공 한스와 <호밀밭의 파수꾼>의 주인공 홀든은 참 달라요.

 우선 가정형편으로 봤을때도 홀든은 부모님도 가족도 훨씬 좋은 상황이고요.

제가 느끼기엔 한스가 홀든보다 훨씬 열심히 하려고 했던것같고요.

결말또한... 참 다르지요.


저는 책속에 나오는 뉴욕의 이런저런 지역들을 잘 아는것도 아니고,

16살짜리 남자아이였던적도 없고, 그렇게 방황하거나 생각이 많았던 편도 아니었기에..

사실 책을 읽으면서 생각이 통통 튀고 자기 자신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홀든 콜필드'라는 캐릭터가

잘 이해가 안되기도 했어요. 하지만 읽다보니 분명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었고, 찡하기도 했고.

어느새 '이러다 홀든이 죽어버리는건 아닐까-' 하며 걱정하고있더라고요.

 

 

 

 

 

미성숙한 인간의 특징이 어떤 이유를 위해 고귀하게 죽기를 바라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반면 성숙한 인간의 특징은 동일한 상황에서 묵묵히 살아가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


어쨌든 홀든은 죽지 않았어요.

<수레바퀴 아래서>의 한스는 죽어버렸지만요.


홀든이 죽지않고 치료를 받아서 또다시 삶을 살아간다는게

자기 자신에게는 어떤 의미일지는 잘 모르겠지만, 살아있는한 계속

이런저런 수많은 생각을 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며 살아가겠죠.

 

 

 

 

정말 이보다 더 어리석은 질문이 있을까?

실제로 해보기 전에 무엇을 어떻게 하게 될지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

물론 열심히 공부할 생각이지만, 실제로 어떻게 될지야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보 같은 질문이라는 것이다.


-


어쨌든.. 책속의 주인공 홀든이 잘 살아나가기를 바래요.

실제로 해보기전에는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거니까, 이것저것을 마음껏 해보면서 말이죠.

확실히.. 살아있으면 어떻게든, 그 무엇이든 해볼 수 있는 것 같아요.




-

 

아띠네 티끌 별

copyright ⓒAtti all rights reserved.

http://sunhwa00812.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