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재황 옮김, 루이스 스카파티 그림 / 문학동네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고전이나 굉장히 유명하지만 읽지 못한 책들을 뒤늦게나마 읽는다는건

왠지 나도 드디어 그 책을 읽는다!! 하는 마음이 들어서 조금 더 들뜨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책도 얼른 읽고싶었어요. 게다가 얇더라고요..!!! +_+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은 이미 수많은 번역본이 나와있는데,

문학동네의 <변신>은 루이스 스카파티가 그림을 그렸어요.

 

 

 

 

이 일러스트는 주인공 그레고르의 모습을 담은건데요,

일러스트를 보다보니 작가인 프란츠 카프카의 모습과 닮은 기분이 들더라고요.

 

 

그리고 이건 주인공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신한 모습.

벌레 그림에서 선들이 특히 멋졌어요.


글과 어우러진 멋진 일러스트가 굉장히 좋았어요.

색이 들어가지 않은 흑백 그림이었음에도(혹은 그랬기에) 직접적이면서도 멋지더라고요.

 

어느 날 아침 그레고르 잠자가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는 침대 속에서 한 마리의 흉측한 갑충으로 변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


-


책을 처음 펼쳐서 읽게되는 첫 문장이 굉장히 강렬했어요.

어느 날~ 로 시작하는 일상적인 문구지만 마무리는 전혀 일상적이지 않은 벌레로 변한 자신의 모습이라니!


책 속에서 그레고르는 책의 시작부터 끝까지 내내 벌레의 모습으로 있게되요.

그는 왜 벌레가 되었는지, 수많은 사람들중에 왜 유독 그만 벌레가 된건지. 그런 이유는 찾을 수 없어요.


그가 벌레로 변신하고 난 뒤의 일들이 그저 안타깝고 어쩔수없는가- 싶다가도

답답하기도 하고, 화도나고 그렇더라고요.


그레고르가 맨 처음 벌레로 변신하고 난 뒤 비쳐지는 그의 회사의 모습과

변신 뒤 내내 겪게되는 집에서의 일들. 슬프고 안타까웠어요.

 

 

이 작품에는 또한 부자 갈등이라는 저자 자신의 오랜 자전적 테마가 아버지 잠자 씨와

아들 그레고르 간의 관계 변화에 대한 묘사를 통해 부분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사과 폭탄 장면은 다시 권력을 되찾은 아버지와 권력을 빼앗긴 아들의 대결 상황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



책을 다 읽고, 옮긴이의 말을 읽은게 미처 몰랐던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


마지막으로 이런저런 생각을 들게 만든 책 뒷표지의 추천글이에요.


그레고르가 생활비를 버는 동안은 그의 기능과 존재가 인정되지만

그의 빈자리는 곧 채워지고 그의 존재 의미는 사라져버린다.


인간 상호간은 물론, 가족간의 소통과 이해가 얼마나 단절되어 있는가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 故 장영희(에세이스트, 영문학자)


-


어떤 곳에서든 어떠한 상황에서든, 아무리 커다란 빈자리일지라도

빈자리는 아무렇지도 않게 채워지기 마련이라는건 알지만 씁쓸하긴해요.


빈자리가 아닌 채워져 있을때 그 큰 공간을 이해하고 감사할 줄 알아야할텐데

익숙함에 묻혀 당연하게 생각되어지는것도 조금 안타깝고요.


어쨌든... 재미있게 읽었어요.

역시 고전이나 유명한 책들은 그런 이유가 있는만큼 읽으면 좋은 것 같아요.

앞으로는 고전책들을 조금씩 더 읽어보도록 해야겠어요 +_+



-

 

아띠네 티끌 별

copyright ⓒAtti all rights reserved.

http://sunhwa00812.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