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그림 앞에 서다 - 그림에 비춰본 28가지 인생 이야기
이명옥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6월
품절


북리뷰메이트에서 서평단이 되어 읽게 된 '인생, 그림앞에 서다'

'그림에 비춰본 28가지 인생 이야기'라는 부제처럼

다양한 그림과 작가들의 이야기와 삶에서 28가지의 주제를 갖고 이야기를 풀어나가요.



그림이 28가지가 나오는건 아니에요.

1가지의 주제속에 함께 풀어주는 작가들과 그림들이 여러개라

실제로는 더 많은 그림과 작가들의 이야기를 들을수가있어요.


저자 이명옥님.. 사비나미술관 관장님이라고해요.



미술관 관장님이라 그런지 단순히 그림에 대한 이야기만이 아니라

그 그림을 그린 작가에 대해서도 많이 이야기해주셔서 그부분이 너무 재미있었어요.

몇몇 마음에 들거나 반가웠던 작품들과 글을 살짝 소개해볼께요.


"6~8주마다 병원에서 내 피를 뽑아 인체의 혈액량인 4L가량을 모았다가

5년에 한 번씩 <셀프>라는 작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마크 퀸



마크 퀸의 <셀프>

작가의 피, 냉동시설 등 혼합 재료.



이 작품은 정말 놀라운 작품이었어요.



피는 생명을 상징하는 동시에 죽음을 의미하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피는 예술가의 분신이면서 생명체가 지닌 생존 의지를 상징한다.



"그렇게 피를 뽑아도 내가 이 자리에 이처럼 앉아있으니 생명체인 인간의

재생력은 정말 놀랍고 신비롭지요."


자신의 피를 뽑아 자신의 얼굴을 만드는 '마크 퀸'

이 작품에 대한 일화도 책에 실려있는데 정말 대단한것같아요.

굉장히 파바바박! 신선함과 충격을 준 작품이에요.



일은 삶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일은 곧 즐거움인데 집중, 도전의식, 성취감이라는 피로회복제가

삶의 에너지를 공급해주기 때문이다.



오페라 속 집시들이 일터로 나가자며 두들기는 망치소리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에게 바치는 찬가이기도 하다.

"아침에 일어나기 싫을 때는 이렇게 생각하라.

인간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나는 일어나야 한다."

조나단 보로프스키의 <망치질하는 사람>



얼마전에 광화문에서 영화를 본적이 있는데,

그때 이 <망치질하는 사람>을 봤어요.



망치질을 하는건 알겠는데 여자인지 남자인지도 잘 모르겠고

무엇을 의미하는것인지 궁금했었는데 '인생, 그림 앞에 서다'에서 나와서

혼자 괜히 반가웠어요.ㅎㅎㅎㅎㅎㅎㅎ


이런식으로 책에서는 작품도 보여주고, 작품에 대해서 설명도 해주고,

그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말해주거나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들려줘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아요.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음-어쩌면M-Maybe>



광고등에서 특히 많이 접해서 매우 익숙한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의 <생 라자르 옆 후문>



"결정적인 순간", "찰나의 순간"을 보여주는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의 <안개바다 위의 방랑자>


***



책을 읽다보면 수많은 책들의 제목들이 나오고 영화도 많이 나와요.

책과 함께 말해줄때 마음에든다 싶으면 읽어봐도 좋을것같아요. 영화를 보는것도 좋고요!ㅎㅎ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듣고 생각을 하게하고.

자연스럽게, 재미있게 잘 풀어낸 책인것 같아요.



특히 미술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확실히 재미있게 읽으실 수 있을것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