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이 어렵게 느껴지진 않나요? 딱딱하게
느껴지진 않으세요? 저는 그랬던 거 같아요.
마냥 어려웠고 멀게만 느껴졌었거든요.
제가 배울때는 모든게 친절하지 않다고
느꼈었는데요. 지금은 좀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아이가 좋아하는 책으로 수학을 접하기도 하고,
배우기도 하고 읽으면서 어렵던 수학도 쉽게 만들어주고,
재미없던 수학도 재미있어지는 매력이 확실히 있네요.
이번에 <각도와 길이로 만든 닮은 도형>을 읽으면서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확실히 책으로 수학을 만났던 게 수학공부에
많이 도움이 되더라고요. 저는 어렵게 느꼈었지만,
아이만큼은 수학을 재미있어하고 즐겼으면하는
마음으로 <각도와 길이로 만든 닮은 도형>을 권했는데요.
역시 아이 취향이었는지, 정말 몰입하며 읽었어요.
요즘은 이렇게 좋은 책들이 많기도 하고,
수학을 재미있게 인식하고, 읽는 즐거움까지
챙길 수 있는 책들이 다양해서 넘 행복합니다.
특히 <각도와 길이로 만든 닮은 도형>이라는
책을 통해 수학이 더 재미있어지고, 좋아하는
도형에 대해서 잘 이해할 수 있게 됐어요.
자음과모음 책들은 정말 하나같이 유명하잖아요.
특히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를 요즘
즐겨보고 있는데요. 비슷한 결의 책이라서
관심갖게 됐는데 읽기를 잘했다싶었습니다.
읽는 즐거움과 알아가는 즐거움이 가득가득했어요.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아이들이 수학을
왜 어려워하는지는 계속 몰랐을 거 같아요.
그냥 늘 수학은 어려운 과목(?)정도로만 생각을
했고 왜 어려워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는데,
덕분에 아이들이 수학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수학이라는 것 자체가
추상성이 강한 수학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과목인데,
아이들은 눈에는 늘 구체적인 것이 익숙하고
편하잖아요. 구체적인 것을 요구하는 아이와
추상적 사고가 필요한 수학 사이에 갭이 있어서
아이들에게는 수학이 어렵게 느껴진 것이었더라고요.
이런 간극을 개념과 원리로 잘 설명한 책인
<각도와 길이로 만든 닮은 도형>을 통해서
잘 메꿀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책 구성은 수업처럼 1교시부터 7교시 구성이었어요.
선생님의 수업따라가듯 책을 따라갈 수 있어서
좋았고, 전반적으로 책 내용 모두가 도형의 닮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닮음이란 한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했을 때 다른 도형과 합동이 되는 두 도형을
닮음이라고 하는데요. 보기에 비슷해보이지만
닮음이 아닌 것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저 수학적으로다만 다가갔을 때는 와닿지
않던 것도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들로
이야기하니까 더 잘 와닿았습니다.
말그대로 딱딱하게 느껴지는 닮음의 뜻과 성질을
실생활에서 보는 물건이나 유명한 건축물에서
찾아보니까 더 이해가 잘 됐던 거 같아요. 게다가
수학적 지식뿐 아니라 건축물에 대한 지식까지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참 행복했습니다.
결국 아는게 힘이잖아요.^^ 배우고 익히며
지식의 힘을 얻어갈 수 있는 책이었네요.

내용을 탈레스가 설명하듯 이끌어주는데요.
탈레스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면서 도형에 관한
학문인 기하학을 그리스에 처음 전한 사람이기도 하잖아요.
이야기속에서 탈레스 강의를 통해서 도형의 닮음을
배우니 쉽고 재미있어요. 딱딱하지 않게 주위의 사물들을 통해
도형들의 관계를 파악한 것처럼 유명한 건축물을 보며
닮음을 가르쳐주고 있어서 어렵지 않았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주어진 도형을 변형하거나 안팎에
적당한 선을 그어 닮음인 삼각형을 찾는 방법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놓았더라구요. 저희 아이도
책을 보고 생각나는 대로 정리를 해봤는데요.
이해가 쏙쏙, 정리가 잘되더라고요. 책을 통해
주변의 사물에 대한 관심도 생기고, 주변에서 닮음을
찾아보는 즐거움이 생겼습니다.
저희 아이는 이 책을 닮음에 대한 모든것을 알고 싶은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다네요. 잘 읽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