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경궁 동무 ㅣ 나를 찾아가는 징검다리 소설
배유안 지음 / 생각과느낌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정조라는 단어 하나만 보고 무작정 읽고 싶었던 책입니다.
이 책은 서로 대립관계에 있었던 정조와 정후겸의 이야기입니다.
흘러간 역사는 현대인들에게 당대의 시간에서 멀어진 시공을 추리를 통해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작가 역시 <한중록>을 읽으면서 역사의 조연이었던 정후겸의 내면을 추리하면서 생각하지 못했던 그의 이면을 상상해 봅니다.
정조의 왕위 계승을 저지하기 위해 앞장섰던 정후겸이었지만 어린시절 창경궁에서 뛰어놀던 이산과 정후겸에게선 애정에 목말라하는 어린 소년이 보일 뿐입니다. 타고난 영특함에 반해 받쳐주지 못하는 집안, 여의치 않은 생계 때문에 제대로 받지 못한 부정, 뻗어나갈곳 없는 출세욕......
운좋게 화완옹주의 양자로 들어가게 되어 이산을 만나면서 정후겸의 이런 컴플렉스는 이산을 향한 질투로 변하게 됩니다. 그런 와중에 이산과 함께 하는 시간동안 미워할만은 없는 정이 들어버리지요. 정후겸에게 이산은 질투로 시기하면서도 마냥 밉지많은 않은 애증의 대상입니다.
책속에서 작가는 이런 정후겸의 이율배반적인 마음을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아마도 역사에서는 버림받은 정후겸에 대한 안스러움을 담고 싶었던 같습니다. 마음을 다스리고 잘 자라주었다면 아마도 조선의 큰 왕 정조를 보필하여 이름을 남기지 않았을까요.
정조와 정후겸이 어린 시절 막대기를 휘두르며 뛰어놀던 창경궁의 모습이 정겹습니다. 이런 저러한 묘사를 읽다보면 정물화처럼 고즈넉한 창경궁이 현실속에서 살아나는듯 합니다. 사건 중심으로 역사를 들여다보는것도 것도 괜찮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당시의 당파 갈등과 사도 세자와 영조와의 관계까지 짚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단편적인 부분을 보면서 조금씩 연관된 이야기로 가지를 뻗어나가고 싶은 동기를 주는 책입니다. 당장 이덕일님의 <사도세자의 고백>을 펴들게 만들었으니까요.
주말엔 창경궁 나들이를 가야 겠습니다. 정조와 정후겸이 뛰어 놀았던 창경궁의 경춘전의 뒤 숲이 아직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