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전쟁 화폐전쟁 1
쑹훙빙 지음, 차혜정 옮김, 박한진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화폐를 둘러싼 총성없는 전쟁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하위계층 대상의 주택담보대출)에서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의 쓰나미가 전 세계를 휩쓸기 시작한게 불과 1년전 일이다. 부실대출과 과잉공급이 맞물려 집값 폭락으로 이어졌고 세계 금융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 지구촌은 대공황 이후 80년 만에 처음으로 극심한 불황에 직면했다. 작년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무너지고 그나마 살아남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상업은행으로 전환해 미국 정부와 FRB의 감독을 받는 수모를 겪게 됐다. 위기의 발단은 미국의 부동산대출에서 시작했지만, 저 멀리 아이슬란드 경제까지 망가지게 되었다.

 

『화폐전쟁(Currency Wars)』은 국제금융전문가인 쑹훙빈(宋鴻兵) 중국 환추(環球)재경원장이 무려 10년에 걸친 취재와 고증을 바탕으로 쓴 책이다. 저자는 미국의 양대 주택담보대출 회사인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에서 5년동안 부동산 담보대출 자동심사 시스템 설계와 파생금융 상품의 리스크세무분석을 담당했다. 이책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금융재벌들의 음모를 실감나게 파헤치고 있으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원인과 전개과정 까지도 한눈에 보여준다.

 

이 책의 전편을 관통하는 단어는 ‘음모’ 또는 ‘배후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런데 여기서 ‘보이지 않는 손’이란 우리가 경제학 교과서에서 배웠던 ‘시장’ 또는 ‘가격’의 의미가 아니라, 화폐를 주무르는 국제 금융재벌 또는 그림자 정부를 의미한다. 약 300년 동안 전 세계에서 일어난 중대 사건의 모든 배후에 이들 국제 금융자본세력의 그림자가 도사리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또 21세기 세계를 지배할 결정권은 ‘핵무기’가 아닌 ‘화폐’라며 화폐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고 말한다.

 

나폴레옹의 워털루 전투, 미국의 독립전쟁과 남북전쟁, 제12차 세계대전 등 세계사 교과서에서 익히 들어본 굵직한 여러 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이 로스차일드 가문 같은 국제 금융재벌들이고, 그들이 세계경제를 주무르며 역사를 새로 만들고 세상을 지배해 왔다는 것을 알게된다. 심지어는 화폐 발행권을 둘러싸고 논란을 벌였던 링컨이나 케네디같은 미국 대통령들의 암살 배후에도 그들이 깊숙하게 개입되었다는 사실 앞에서는 아연질색할 따름이다.



그것뿐이 아니다. 저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설립, 1930년대의 대공황, 금본위제도의 폐지, 일본의 장기불황, 그리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외환위기 등이 모두 화폐를 둘러싼 국제금융자본의 음모라고 주장한다. 특히 국제금융세력들이 각국정부와 화폐 발행권 및 화폐정책의 이익을 놓고 벌인 치열한 싸움의 역사를 읽다보면 흥미로움을 넘어 섬뜩함마저 느껴진다.



이책을 읽다보면 이제껏 무심코 믿어왔던 상식이 여지없이 깨진다. 예를 들면 우리가 당연히 공공은행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FRB가 사실은 공공은행이 아니라 민영은행이라는 것. 그리고 대부분은 당연히 미국정부가 달러를 발행한다고 생각하지만, 화폐발행권 역시 정부가 아닌 민간은행인 FRB가 쥐고 있다는 사실 등이 그렇다.

 

최근 들어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에 대한 도전이 거세다. 저자는 안정적인 화폐 도량형이 없이는 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이룰 수 없을 뿐 아니라 시장 자원의 합리적 분배도 불가능하다며 금본위제로 돌아가야한다고 말한다. ‘달러’가 아닌 ‘금’만이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단호한 주장이다.

 

21세기, 우리가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책 내용대로라면 국제금융재벌의 음모가 수시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 하면서 우리의 삶에 언제든 큰 고통을 가져다 줄 수 있고 어이없게 두눈 멀쩡하게 뜬채로 우리 호주머니를 털릴수도 있기 때문이다. 핵무기보다 더 무서운 ‘총성 없는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500쪽이 넘는 적지 않은 분량이지만 한쪽 눈 질끈감고 백신주사 맞는 심정으로 이책을 읽어야 한다고 권하는 까닭이 여기있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